기본분류

다음 모바일 광고 플랫폼 ‘아담’, 월간 페이지뷰(PV) 100억 돌파

다음커뮤니케이션의 모바일광고플랫폼 ‘AD@m(이하 ‘아담’)’이 월간 페이지뷰(PV) 100억을 넘어섰다.

(서울=뉴스와이어) 2011년 11월 03일 -- 다음커뮤니케이션의 모바일광고플랫폼 ‘AD@m(이하 ‘아담’)’이 월간 페이지뷰(PV) 100억을 넘어섰다.

 

아담, 출시 1년만에 월간 PV 100억 돌파, 빠른 성장세

 

아담은 출시 1년도 안돼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첫 페이지 월간 PV의 3배에 달하는 PV를 기록하며 국내표 모바일 광고 네트워크 플랫폼으로 입지를 굳혔다.

 

이는 달리 표현하면,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2,000만명이 한달에 약 500번씩 아담 광고를 접한다는 의미이다.

 

현재 1,900여 개에 달하는 파트너사(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사이트 합산)를 확보한 아담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탑재형 광고인 ‘인앱애드(in-app ad)’와 모바일웹을 포괄하는 모바일 광고 네트워크 플랫폼이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모바일 사이트 운영자 등 다양한 플랫폼의 운영자들이 간단한 등록만으로 아담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광고주 역시 노출할 광고 및 페이지를 아담에 등록하면 자사의 광고를 바로 노출할 수 있다.

 

이처럼 아담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오픈 플랫폼 구조로 그 동안 뚜렷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지 못했던 국내 모바일 생태계의 상생과 협력에도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실제로 아담의 광고주는 지난 1분기에 비해 무려 160배 이상 늘어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아담 100억 PV 중 59%가 애플리케이션, 모바일웹은 41% 차지

 

이처럼 아담이 월간 100억 PV를 돌파하며 국내 대표 모바일 광고 플랫폼으로 자리잡으면서, 아담의 트래픽을 분석해 보면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모바일 이용 패턴을 어느 정도 엿볼 수 있다.

 

아담의 트래픽을 보면, 전체 트래픽의 41%는 모바일웹이 차지했으며, 트래픽의 59%를 애플리케이션이 차지해 모바일웹보다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이 조금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트래픽의 67.36%가 안드로이드폰에서 발생했으며, 아이폰은 23.32%를 차지해 아담 트래픽의 약 91%를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이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윈도우모바일 스마트폰, 블랙베리(RIM OS), 노키아(심비안OS) 등이 차지했다.

 

또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별로 보면, 엔터테인먼트 37.96%, 생활 정보 22.91%, 게임 18.75%의 트래픽을 각각 기록해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주로 생활 속 유용한 정보를 얻거나 게임과 같은 놀거리, 즐길 거리를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남영시 M세일즈마케팅팀장은 “최근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가 2,000만 명에 달하면서 모바일 광고 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라며, “국내 대표 모바일 광고 플랫폼으로 자리잡은 ‘아담’의 경쟁력을 더욱 높여 본격적인 모바일 광고 시대를 주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아담’은 광고주들의 모바일 광고를 아프리카TV, 1to50, 연합뉴스, MBC 등 ‘아담’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팟게이트, 이지데이, 알바천국 등 모바일 사이트를 비롯해 다음의 모바일웹(m.daum.net)의 초기화면 일부 및 내부 섹션, ‘다음 쇼핑하우’, ‘다음 tv팟’ 등 다양한 페이지에 노출하고 있다.


출처: 다음커뮤니케이션


 

관련기사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