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와 명태균 씨를 둘러싼 '공천 개입' 의혹이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명태균 씨와 10년 가까이 일한 강혜경 씨가 통화 녹음파일 10여 개를 공개했습니다. MBC, 뉴스타파 오마이뉴스는 지금까지 공개된 녹음파일을 바탕으로 이른바 '명태균 의혹'들을 아래와 같이 기사로 밝혔습니다. 이어 강혜경 씨가 공개한 녹음파일에 따르면, 명태균 씨는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의 지지도를 파악하기 위해 여론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윤석열 후보 측에 매일 보고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명 씨는 여론조사 비용으로 3억 7천여만 원을 쓰고도 윤 후보 측에서 대금을 받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 명 씨가 윤석열 후보 측에 유리한 방향으로 여론조사 결과를 조작한 정황도 확인됩니다. 기존에 불거졌던 명태균 씨와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에 더해,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 측이 공짜로 여론조사 결과를 제공받은 것 아니냐는 '정치자금법 위반' 의혹, 그리고 여론 조작 의혹이 추가로 제기되는 상황으로 밝혀집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기자 권오춘/선임기자
<10월 16일 서울교육감 보궐선거 진보진영 정근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위 사진> 서울시 교육감 10월 16일 진보 교육감 정근식 후보 당선 됐었습니다. 이어 곽노현과 함께 시작했던 서울시 교육감 선거, 정근식 교육감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조희연 교육감의 희생 위에 출발한 보궐선거는 승리로 확정되었습니다. 따라서 투표율이 낮아 비상사태에 마주했는데 결국 진보성 정근식 교육감이 당선자가 이겼습니다. 만약 서울에서 패배했다면 진보 진영의 그 파장은 매우 컸을 것으로 보고있다. 이어 김민웅 촛불행동 공동대표는 정세는 중대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고말하고. 이제 막바지이며. 영차 영차 함께 힘을 내자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김민웅 공동대표는 오는 10월 19일 토요일 전국 촛불집회의 집중은 오후 3시 라고 말하고, 모두 함께 쏟아져 모이자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이번 서울 교육감의 선거 승리와 더불어 윤석열 정부의 탄핵으로 전쟁과 계엄음모를 확실하게 막고내고 새로운 세상을 함께 일구어 나가자고 호소했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기자 김학민/선임기자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국 소설가 한강> <긴급속보> 10월 10일(현지 시각)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소설가 한강"을 선정했다고 스웨덴 한림원이 발표했습니다. 소설가 한강은 대한민국 작가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게 됐습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인으로는 지난 2000년 노벨평화상을 탄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 2024 년 노벨상 수상자가 탄생 됐습니다. 언론인으로서 진심으로 환영하고 우뢰와 같은 기립박수를 보냅니다. 외신도 한국의 소설가 한강 노벨문학상 관심 집중 The winner of this year's Nobel Prize in Literature was writer Han Kang. She is the first Asian female writer to wi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and the second Nobel Prize for a Korean, following the Peace Prize won by the late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The Swedish Academy stated the reason for its se
<제 22대 국회 본회의 포토> 민주당이 10윌 6일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후 폐기된 김건희 특검법을 재추진하고, 10월 9일 더불어민주당 김용민ㆍ박주민ㆍ김승원 의원 등 국회 의안과에 접수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박찬대 원내대표는 오늘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 명령을 받들어 김건희 특검법과 채 상병 특검법을 빠른시일내 재추진하겠으며, 대통령이 거부권 행사 할 수 없는 상설특검과 국정조사 등 실시하고 공정하게 밝혀낼 수 있는 다른 수단도 함께 모든걸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김건희 여사 특검에 대한 60일 상설특검 가능성을 언급하며, 삼부토건 주가 조작 의혹과 세관 마약 수사 외압 의혹 등은 상설 특검으로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은 진행되고있는 국정감사를 국민의 민생 국감 등 '윤석열 정권 '6대 의혹'을 규명하고, 서민층민생 회복을 위한 5대 대책에 대해 제시하겠다는 각오로 삼육오 국정감사라고 이름 붙였다. 따라서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번 국정감사를 끝장 국감으로 만들겠다며, 윤석열 정권 2년 6개월의 총체적 무능과 무대책, 김건희 국정농단 의혹의 실체를 추상같이 파헤쳐서 진상을 규명하고, 범야권은 실체
<민주당 법사위 김용민 의원 포토> 민주당 김용민 의원 10월 7일 이번 국정감사를 '365 국감'이라고 붙였습니다. 국정감사 '3대 기조'에 따라 윤석열 정권의 '6대 의혹'을 파헤치고, 민생 회생을 위한 '5대 대책'을 제시한다는 의미 라고 말했다. 따라서 김용민 의원은 국정감사를 통해서 무능하고 무책임한 윤석열 정권 2년 6개월의 폭주를 끝내겠다고 밝히며, 국민적 의혹이 해소될 수 있도록 윤석열 정권을 끝까지 견제하고 파헤치겠다고 밝혔습니다. . Reported by 김홍이/대기자 권오춘/국회출입사진기자 손병걸/정치부기자
<민주당 강득구 의원 9월 29일 국회에서 윤대통령 대한 탄핵의 밤에 대해 언급했다> 국민의힘은 9월 29일 논평을 내고 "민주당 강득구 의원에 제명 촉구와 사과 요구 등 비판이 잇따르자 '헌법에 탄핵 조항이 있는데 왜 못하냐'는 의문을 덧붙이기까지 했다"며 "오로지 탄핵 선동만을 주요 수단으로 삼아 정권을 흔들어 보려는 작태는 반드시 멈춰져야 함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맹 비난했다. 국민의힘은 이어 "진보당 정혜경 의원은 28일 경남에서 개최된 반정부 세력 집회에 참석해, 머리띠를 두르고 피켓을 높이 들어 윤정권 '퇴진'을 외쳤다"며 "탄핵 선동은 멈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 윤정부에 대한 탄핵의 밤에 대해 기자회견을 하고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강득구 의원 성명서 내용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전국을 돌며 선거 중립 의무를 위반할 때 국민의힘은 무엇을 했습니까 ? 대통령과 그 부인이 불법을 저지를 때 단 한 번 조언이라도 했습니까 ? 김건희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의혹부터 서울 - 양평 고속도로 게이트 의혹 , 공천개입 의혹까지 탄핵의 사유는 차고도 넘칩니다 . 이 지경이 될 때까지 윤석열 정부를 제대로 끌고
지난 대통령 선거운동 기간 뉴스타파의 후보자 검증 보도가 후보이던 윤석열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검찰이 수사한 사건 재판이 오는 24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앞서 세 차례 공판준비 기일에서는, 재판부가 공소 내용이 불명확하다고 지적하고 이에 검찰이 공소장 일부를 변경했다. 형사재판은 검찰이 유죄를 입증하는 절차이다. 피고인이 무죄를 입증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에 기소된 뉴스타파 김용진 대표와 한상진 기자도 앞으로 검찰의 명예훼손 범죄 주장을 반박하는 일을 하게 된다. 다만 검찰의 기소 자체가 불법이라면, 피고인도 무죄가 아닌 공소기각을 법원에 요구할 수 있다. 이번 재판에서 뉴스타파는 검찰 수사가 불법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검찰이 법원에 제출한 증거기록 가운데 조작된 증거가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뉴스타파가 조작 증거라고 주장하는 검찰 수사기록에서는 오히려 뉴스타파가 허위 주장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뉴스타파가 사법시스템을 흔들고 공격하고 있다고 했다. 검찰의 증거기록이 조작된 것이라고 말하는 이는 한상진 기자고, 한상진 기자의 주장이 허위이며 사법방해라는 수사관 보고서에 도장을 찍은 이는 이건웅 검사이다. 한상진 기자는 이러한 주장을
<김용진 뉴스타파 대표 서울중앙검찰청 조사 직전 기자와 인터뷰 장면 포토> 윤석열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뉴스타파 김용진 대표, 한상진 기자 등 4명에 대한 첫 공판이 오늘(9월 24일) 열렸다. 재판에 앞서 뉴스타파는 이 사건의 '피해자'인 윤석열 대통령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명예훼손 사건은 피해자가 명시적으로 처벌 의사를 밝혀야 재판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윤 대통령은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인 '부산저축은행 사건 무마 의혹'의 핵심 인물이기도 한다고 밝혔다. 한편 오늘 재판에서 검찰은 공소장에 없는 내용, 혐의와 무관한 내용을 언급해 재판부로부터 여러 차례 지적을 받기도 했습니다. '윤석열 명예훼손' 사건의 다음 공판은 오는 10월 22일 열릴 예정입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기자 권오춘/국회출입사진기자 . . ㅈ ㅈ ㅈ ㅈ . . ㅈ . 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