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속보> 천주교 정의사회구현단 출범... 비상대책위원회 송년홍 총무 신부와 김민웅 교수(촛불행동)과 종교모임 등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 운동"을 매주 대대적인 '시국미사'와 '촛불시위'를 열겠다고 밝혔다!

 

<속보>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한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정의구현사제단)이 매주 시국미사를 열기로 했다.

21일 정의구현사제단과 촛불행동은 전날 전주 풍남문 광장에서 열린 '검찰독재 타도와 매판매국 독재정권 퇴진 촉구' 시국미사 이후 비상시국 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결정했다.

정의구현사제단은 정권 퇴진 촉구 시국미사를 주도할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송년홍 총무 신부를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전국 14개 교구별로 1∼2명의 신부가 이 위원회에 참여한다.

위원회는 이르면 다음 주 월요일 2번째 시국미사를 열 것으로 보인다.

장소는 위원회 내부 회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라고 정의구현사제단은 밝혔습니다.

 

-아래와 같이 천주교 정의구현 사제단과 촛불행동의 만남-

 

전주 풍남문 광장에서 열린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시국미사는 그야말로 감동이었습니다. 사제단이 윤석열 퇴진 선언은 촛불을 든 국민들에게 천군만마의 힘을 안겨다 주었고, 새로운 역사의 장이 열리는 것을 예고해주었습니다. 

전주 시국미사는 내내 엄중한 선언과 중심이 잡힌 결의, 그리고 촛불의 아름다움과 장중하기도 하고 경쾌하기도 한 음악이 그득 했고, 현장이 주는 안온함 또한 경이로왔습니다. 

제단 오른 편에는 함세웅 신부님, 문정현 신부님, 문규현 신부님 등 원로 신부님들이 앉아계셨습니다. 또한 제가 사랑해마지 않는 믿음 안에서의 형제인 김인국 신부님도 함께 자리에 앉아 계셨습니다. 

무엇보다도 사제단 김영식 대표 신부님이 저를 따뜻하게 맞아주시고 뜨거운 포옹으로 결의를 다진 순간은 엄청난 감동과 감격의 현장이었습니다. 

현장에 있던 많은 분들이 눈물을 흘렸고 저 또한 그랬습니다. 어찌나 기쁘던지 꽉 안은 팔을 풀지 않았고, 마음이 너무나도 뜨거워져 어느새 신부님 머리까지 깊이 감싸 껴안고 “믿음의 형제”로서 일체되는 사랑을 나누기도 했습니다.

모여 있는 시민들 앞에서, 함께 두 팔을 벌려 손을 흔들자 그 우레와같은 기쁨의 함성은 역사의 진군을 확신시켜주었습니다. 

이에 앞서 김영식 신부님이 "촛불행동이 31차에 걸쳐 매주 토요일 광화문에서 윤석열 퇴진과 김건희 특검을 요구해왔다”며 "이제 정의구현사제단의 윤석열 정권에 대한 '레드 카드' 제시는 돌이킬 수 없는 윤석열 퇴진의 서곡이 되고야 말 것”이라고 하시는 순간, 사제단과 촛불이 이렇게 만나는구나 하고 감동이 치솟아 올라 어찌 할 바를 몰랐습니다.

김신부님이 강론 내내 3.1 운동 정신을 되살릴 것이라고 하셨는데 아, 이렇게 하나님이 역사하시는구나 하고 제 나름 놀랐습니다. 31차의 촛불 대행진, 그 31을 중간에 점을 찍어 나누면 3.1. 결국 그 시간까지 오니 이런 문이 열리는구나 했답니다. 

게다가 3은 “3일”이라는 수로 나타내는 신학적 차원의 완성을 뜻하고 그 첫발자국 1. 또는 3위 1체이니, 그저 웃자고 하는 숫자 놀음이 아니라 그 자체가 주는 메시지가 너무도 분명했습니다. 이제 그 새로운 발자국을 떼는 것입니다. 하늘과 사제단과 촛불이 만드는 “3”, 이게 한 몸이 되어 이뤄내는 시작 “1”. 우리의 전통에서도 3은 정립(鼎立), 일체(一體)가 되는 완벽의 질서입니다. 

생각지도 않게 저에게도 발언의 기회가 주어져 짧은 발언과 함께 기도를 올렸습니다. 하나님의 거룩하신 영이 그 자리에 충만한 느낌이 분명하게 전해져 왔습니다. 

저 자들의 패배와 몰락은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마음이 뜨거워진 이들의 결집을 이길 자 없습니다. 

이 싸움은 반드시 끝이 있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뉴스탐사기자

손경락/법률경제전문기자

김학민/국회출입사진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4월 9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 강단에서 취임식
<마은혁 헌법재판관 4월 9일 취임식 포토> 김홍이 기자=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취임식이 4월 9일 오전 10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취임식 현장 소식 전해드립니다!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취임식이 4월 9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 대강당에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이로서 174일 만에 헌법재판소 9인 재판관 시대가 열렸습니다. ​마은혁 재판관은 이날 취임사를 통해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 제시된 헌법적 원리와 가치가 입법, 행정, 사법 등 모든 국가 활동의 기준으로 작동하게 되었고, 정치적 다툼이 그 궤도를 따라 진행하게 되었으며, 사회통합의 견인차가 되었다"며 "임기 동안 우리 국민이 피와 땀을 흘려 함께 지켜온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원리와 질서가 흔들리지 않도록 혼신의 힘을 다해 불철주야로 노력하여 저의 작은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마 재판관은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애정, 배려를 바탕으로 하여 다수의 견해를 존중하되 맹종하지 않고, 소수자와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에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민주당 법사위 이성윤 의원, 5월 2일 이재명 후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은 ‘사법쿠데타’이고 ‘정치개입’
민주당 법사위 이성윤 의원, 대법원의 이재명 사건 ‘사법쿠데타’는 진압됩니다! - 압도적 승리로 내란종식 할 것입니다. 5월 1일 이재명 후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은 ‘사법쿠데타’이고 ‘정치개입’이라고 말했다. 오늘 법사위에서, 내란종식을 위해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상정했으며, 형소법 제306조에 "대통령 당선시, 임기종료시까지 공판절차를 정지한다고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헌법상 너무나 당연한 이치와 헌법학자들 압도적 다수의견을 법률로 명확하게 규정했고, 지귀연 재판부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지하출입, 비공개 재판 등 특혜를 줬다고 보고있다. 반면, 대법원은 이번 이재명 사건에는 온갖 예외 규정만 적용해서 초스피드 빛의 속도로 서둘러 선고합니다. 지귀연 재판부가 법원 신뢰를 추락시켰다면, 대법 ‘5월 1일 사법쿠데타’는 법원 신뢰를 아예 바닥에 내팽개친 것입니다. 이어서 2차 인혁당 사건이 떠오릅니다. 1975년 4월 8일 대법 전원합의체는 딱 하루! 심리하고선 같은 날 8명 사형선고합니다. 다음날 새벽 4시 사형이 집행됩니다. 유신독재에 굴복하여 졸속심리, 졸속재판으로 8명 사법살인한거지요. 가장 부끄러운 사법흑역사로 기록된다고 말하고, 다시 50년이 지난 20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