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인천공항공사, COVID-19 위기 극복 공헌한... 김경욱 사장(인천국제공항공사), 공항 면세점 우수 버팀목 브랜드 시상!! !!

김경욱 사장(인천국제공항공사), 코로나19 장기화로 위기를 겪고 있는 인천공항 면세점의 생태계 유지에 공헌하고 있는 국내 중소 면세 브랜드 10개를 ‘2021 인천공항 면세 버팀목 브랜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3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면세구역에서 인천공항공사 백정선 운영본부장(사진 오른쪽에서 4번째)이 ‘2021 인천공항 면세 버팀목 브랜드’로 선정된 국내 중소 면세 브랜드의 대표들에게 상패를 수여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상황을 감안하여 별도의 시상식은 개최되지 않았으며, 상패는 인천공항공사 백정선 여객본부장 및 관계자 최소인원이 각 브랜드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개별적으로 수여하였다.
‘2021 인천공항 면세 버팀목 브랜드’는 코로나19로 면세업계가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도 인천공항 면세점 운영에 모범이 되는 국내 중소 브랜드를 격려하기 위해 도입한 포상 프로그램이다.
공사는 인천공항 면세점에 입점함 80여개 국내 중소 브랜드 등을 대상으로 참가 신청을 받았으며, 운영 중단 최소화 노력 및 고용 유지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10개 브랜드를 선정하였다.

 

-2021 인천공항 면세 버팀목 브랜드-


리더스코스메틱, ㈜무진글로벌, 미송식품, ㈜신드롬이노베이션, 
㈜에이치에스에프, ㈜에프앤코, ㈜엘가, ㈜일억조종합식품, 
㈜코롬방제과, ㈜테디아일랜드패션  ( 가나다 순)

특히, 중소 면세브랜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경영악화가 상대적으로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임대료 감면 등 면세점 생태계 극복을 위한 공사의 다양한 지원책에 발맞추어 공항 면세점 사업 유지를 위해 헌신한 점을 높이 평가 받았다.
‘2021 인천공항 면세 버팀목 브랜드’로 선정된 사업자에게는 상패와 소정의 상금이 수여되었으며, 선정 결과는 공사가 시행하는 상업시설 운영사업자 평가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김경욱 사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면세 업계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최상의 공항 면세서비스 유지에 헌신하고 있는 중소 브랜드에 감사와 격려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버팀목 브랜드를 선정하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공사는 면세업계와의 지속적인 소통 및 상생발전을 통해 공항 면세점 코로나19 위기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3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면세구역에서 인천공항공사 백정선 운영본부장(사진 오른쪽에서 4번째)이 ‘2021 인천공항 면세 버팀목 브랜드’로 선정된 국내 중소 면세 브랜드의 대표들에게 상패를 수여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Reported by

김홍이/뉴스탐사기자

강동희/문화관광환경기자

정석철/국회출입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김경호 변호사, 12일 서울구치소장 김현우의 헌법 위에 서려는 오만, 국기(國基)를 흔들다!
[김현우 서울구치소장 포토] (김경호 변호사의 칼럼) 김홍이 황일봉 기자=[칼럼] 김경호 변호사의 서울구치소장 김현우의 헌법 위에 서려는 오만, 국기(國基)를 흔들다 김 변호사는 공직자는 법의 수호자이지, 주인이 아니다. 국가의 녹을 먹는 자는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헌법과 법률에 부여된 책무를 성실히 수행할 의무를 진다. 그러나 서울구치소장 김현우가 보여준 행태는 이러한 공직의 대의를 정면으로 배신하고, 법치주의의 근간을 스스로 허무는 오만의 극치이다.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내란수괴 혐의로 수감된 전직 대통령의 체포 과정에 대한 자료를 요구했다. 이는 '황제 수용'이라는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고, 국가 형벌권 행사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극히 정당한 헌법적 권한 행사이다. 그러나 김현우 소장은 이를 정면으로 거부했다. 그는 국회법보다 하위법인 정보공개법의 '사생활 보호' 조항을 얄팍한 방패로 삼아 국민의 눈과 귀를 가로막았다. 이는 단순한 법리 오해가 아니다. 명백한 직권남용이자, 의도적인 헌정 질서 유린 행위이다. 국회의 자료제출요구권이 다른 법률에 우선한다는 '국회증언감정법'의 명문 규정을 모를 리 없는 공직자가, 법률의 위계질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