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인터뷰뉴스TV> 서울시 북촌문화센터, 비대면 대보름 맞이 ‘달집태우기 체험’ 운영 / Seoul Bukchon Cultural Center operates a moon burning experience to greet Daeboreum in non-confrontation

서울시, 23일(화) 정월 대보름 절기행사로 ‘달집태우기 체험 꾸러미’ 발송(100명 추첨)
신축년(辛丑年) 첫 보름달을 맞이하며 한 해의 액운을 날리고 풍요를 기원
서울한옥포털 홈페이지나 북촌문화센터 사회관계망(SNS) 통해 온라인 신청

Seoul Metropolitan City, the 23rd (Tuesday) shipped the “moon burning experience package” as a New Year's Day festival event (100 people lottery)

A new year, when the first full moon is greeted, the bad luck of the year is blown and abundance is prayed.

Apply online through the Seoul Hanok Portal website or the Bukchon Cultural Center social network (SNS)

 

 

 □ 서울시 북촌문화센터는 정월 대보름을 맞아 ‘계동마님댁 정월 대보름 맞이’ 행사로 ‘달집태우기 체험’ 비대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정월 대보름은 한 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로 음력 1월 15일(’21.2.26.)에 지내는 우리나라의 명절이다. 농경사회에서 보름달은 풍요를 상징했기 때문에, 정월 대보름은 추석이나 설날만큼 중요한 명절로 여겨졌다.

 

□ 정월 대보름에는 달집태우기, 부럼깨기, 지신밟기 등 다양한 세시풍속을 즐기며 액운을 막고 한해의 풍요와 복을 빌었는데, 달집태우기는 가장 널리 행해진 풍속 중 하나로 나뭇더미를 쌓아 달집을 짓고 정화(淨化)의 의미로 불태우며 질병과 근심이 없는 밝은 한 해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 정월 대보름 세시풍속 체험을 위해 북촌문화센터에서는 한 해의 액운을 날리고 풍요를 기원하는 ‘달집태우기 체험 꾸러미’를 발송한다. 이번 체험 꾸러미는 북촌의 한옥 양초공방과의 협업으로 제작되었다.

○ ‘달집 태우기 체험 꾸러미’ : ‘달집태우기 체험 꾸러미’는 비즈시트*와 부럼, 나뭇가지, 솔가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즈시트로 달집 모양의 초를 만들고, 부럼과 나뭇가지, 솔가지 등으로 장식한 후 초에 불을 붙이면 나만의 달집태우기를 체험해볼 수 있다.

* 비즈시트 : 비즈왁스(밀랍)를 벌집 모양의 시트로 가공한 제품. 양초를 만들 때 왁스를 가열하여 녹이고 다시 굳히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재료

 □ 체험 꾸러미 신청은 서울한옥포털 홈페이지(http://hanok.seoul.go.kr), 북촌문화센터 사회관계망(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을 통해 23일(화) 10:00~
18:00까지 접수하며,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우편 발송할 예정이다. 문의는 북촌문화센터(☎02-741-1033)로 하면 된다.

□ 한편,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완화됨에 따라 서울 공공한옥의 현장·대면 프로그램이 인원제한 조건 하에 순차적으로 재개된다. 북촌문화센터의 경우 정월 대보름 당일인 26일(금)과 27일(토) 방문하면 자유·해설관람이 가능하고 널뛰기, 투호 등 전통놀이도 체험해볼 수 있다. 현장 프로그램 재개 일정 및 내용은 공공한옥마다 상이하므로, 방문 또는 체험 참여를 희망하는 시설에 개별 확인이 필요하다.

□ 류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코로나로 어려운 시기여서 세시풍속에 담긴 지혜와 위로가 더 뜻깊게 다가온다”며, “가족과 함께 보름달처럼 풍요롭고 희망 가득한 한 해를 기원하는 시간이 되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This English Festival News article is for foreigners-

 

□ The Bukchon Cultural Center in Seoul operates a non-face-to-face program as an event for “Gye-dong Mother's House to Greet Daeboreum in the New Year” in celebration of the New Year's Day.

○ New Year's Day Daeboreum is a Korean holiday that is celebrated on the 15th of the lunar calendar (January 26th, Feb. 26) when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rises.  Since the full moon symbolized abundance in the agricultural society, the New Year's Day Daeboreum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holiday as Chuseok or New Year's Day.

During the Lunar New Year, during the Lunar New Year, people enjoyed various customs, such as burning the moon, breaking the rock, and stepping on the earth.  It is a ritual that is burned with meaning and wishes for a bright year without diseases and worries.

□ For the New Year's Day, the Bukchon Cultural Center sends out a “moon-burning experience package” to pray for abundance and bad luck in the year.  This experience package was produced in collaboration with the Hanok Candle Workshop in Bukchon.

○ “Daljip Burning Experience Package”: The “Daljip Burning Experience Package” is composed of a biz sheet*, a burum, a tree branch, and a pine tree branch.  You can experience burning your own moon house by making a candle in the shape of a moon house with a bead sheet, decorating it with bushes, twigs, and pine trees, and lighting the candle.

* Bees sheet : A product obtained by processing bees wax (beeswax) into a honeycomb-shaped sheet.  Ingredients that can eliminate the process of melting and re-hardening by heating wax when making candles

□ Application for the experience package is from 10:00 on the 23rd (Tue) through the Seoul Hanok Portal website (http://hanok.seoul.go.kr) and the Bukchon Cultural Center's social network (Instagram, Facebook).
 It will be accepted by 18:00 and will be mailed to 100 people through lottery.  For inquiries, contact the Bukchon Cultural Center (☎02-741-1033).

On the other hand, as social distancing has been eased to two stages, the on-site and face-to-face programs of Seoul public hanok will be resumed sequentially under the condition of the number of people.  In the case of the Bukchon Cultural Center, visitors can visit the 26th (Fri) and 27th (Sat) on the day of the Daeboreum of the New Year, and you can enjoy free and commentary viewing, and you can also experience traditional games such as running jump and tuho.  Since on-site program resumption schedules and contents are different for each public hanok, individual confirmation is required at the facility where you wish to visit or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 Hoon Ryu, head of the Urban Regeneration Office of Seoul, said, “It is a difficult time due to corona, so the wisdom and comfort contained in the three-time customs come to us more meaningfully.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Alexander U. Photo Journalist

김홍이 기자/PD


인터뷰컬럼

더보기
김경호 변호사, 12일 서울구치소장 김현우의 헌법 위에 서려는 오만, 국기(國基)를 흔들다!
[김현우 서울구치소장 포토] (김경호 변호사의 칼럼) 김홍이 황일봉 기자=[칼럼] 김경호 변호사의 서울구치소장 김현우의 헌법 위에 서려는 오만, 국기(國基)를 흔들다 김 변호사는 공직자는 법의 수호자이지, 주인이 아니다. 국가의 녹을 먹는 자는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헌법과 법률에 부여된 책무를 성실히 수행할 의무를 진다. 그러나 서울구치소장 김현우가 보여준 행태는 이러한 공직의 대의를 정면으로 배신하고, 법치주의의 근간을 스스로 허무는 오만의 극치이다.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내란수괴 혐의로 수감된 전직 대통령의 체포 과정에 대한 자료를 요구했다. 이는 '황제 수용'이라는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고, 국가 형벌권 행사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극히 정당한 헌법적 권한 행사이다. 그러나 김현우 소장은 이를 정면으로 거부했다. 그는 국회법보다 하위법인 정보공개법의 '사생활 보호' 조항을 얄팍한 방패로 삼아 국민의 눈과 귀를 가로막았다. 이는 단순한 법리 오해가 아니다. 명백한 직권남용이자, 의도적인 헌정 질서 유린 행위이다. 국회의 자료제출요구권이 다른 법률에 우선한다는 '국회증언감정법'의 명문 규정을 모를 리 없는 공직자가, 법률의 위계질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대한민국 재도약의 설계도... 이재명 대통령, 국민께 보고드립니다
김홍이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월 13일 인수위원회 절차 없이 출범한 우리 정부는 지난 두 달간 당면한 현안에 대응하며 무너져가던 민생과 정치, 외교를 정상화하기 위해 전력을 다해 왔습니다. 동시에 국정을 보다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며 진정한 국민주권 정부 실현의 토대를 다져가고 있다고 말하고, 마치 가파른 산길을 구르듯 숨 가쁘게 달려온 순간들이었습니다. 오늘 그 여정을 마무리하며,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국민 여러분께 보고드렸습니다. 대한민국의 정치·경제·사회·외교 등 전 분야를 재정비하고, 힘차게 미래로 도약하기 위한 설계도 라고 밝혔습니다. 李 대통령은 이번 계획은 확정된 것이 아닌, 국민과 함께 다듬어갈 초안입니다. 앞으로 다양한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완성도 높은 정책으로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정책 수립 단계부터 집행까지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李 대통령은 전례 없는 국난 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성원과 지지를 보내주신 국민 여러분 덕에 모든 어려움을 헤쳐올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오로지 국민께 의지하고, 국민만 바라보며, 더 나은 대한민국으로 보답드리기 위해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