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구킴 작가, 핑거 페인팅(Finger Painting) 기법으로 세계 미술계에 관심이 쏟아져

구구킴 작가, 핑거 페인팅(Finger Painting) 기법으로  세계 미술계에 관심이 쏟아져


세계 최대의 미술 올림픽이라고 불리는 제58회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한국의 핑거 페인팅 작가가 세계 미술인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구구킴 작가는 한국의 전통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 해외에서 전시 및 활발한 작품 활동으로 한국미술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해외미술관 및 갤러리에서 작품성을 인정받아 지난 2019년 5월 8일 ~ 오는 11월 24일까지 열리는 베니스 비엔날레 행사에서 타이 국가관 자리였던 100여 평의 특별 전시관 공간에 30여점의 작품으로 2019년 7월 21일까지 전시를 진행 한다. 

주요 출품작 "SCENTS(향기)"는  인향만리(사람의 향기는 만리를 간다)의 뜻과 같이 예술도 사람의 향기가 났으면 하는 바램으로 작품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번 전시회의 숨은 테마 "자비" 는 미투문제, 난민문제, 전쟁, 굶주림 등으로 상처 입은 모든 사람들이 자비의 마음처럼 상처가 치유되기를 염원하는 마음을 담았다.

구구킴의 작품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은 지두화(指頭畵)라고도 불리는 핑거 페인팅(Finger Painting) 기법으로 제작하여 관람객과 미술애호가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 주고 있는데, 붓과 같은 미술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마음과 몸속의 깊은 영혼을 손끝에 모아 새겨진 캔버스의 이미지는 작가의 진정성이 녹아져 타인의 마음을 울리고 감동을 선사하기에 충분하다. 
작품 대부분이 폭 3m, 높이 2m가 넘는 대작으로 자연, 사람, 부처의 다양한 모습을 현실감 있게 그렸으며, 인자한 부처의 얼굴부터 생로병사(生老病死) 온갖 표정이 함축된 사람의 얼굴까지 진중하고 심오한 작품으로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작가는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후 일본 도쿄로 건너가 현대미술과 패션, 공간 디자인 등을 공부했으며, 일본에서 건축디자인 사무소를 운영하며 틈틈이 핑거 페인팅으로 그림을 그려 아티스트로 일본에서 먼저 알려지기 시작 했다. 구구킴의 작품을 본 외국의 미술평론가들은 개성 넘치는 작품에 좋은 평가를 내렸으며, 특히 하버드 아트 뮤지엄 큐레이터인 Robert D. Mowry 박사는 구구 킴의 열렬한 팬으로 
"구구는 앤디워홀과 김환기를 뛰어 넘는 자질과 누구나 흉내낼 수 없는 독창성을 이미 가지고 있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구구킴 작가는 "역사와 전통이 녹아져 있는 순수미술은 국적과 관계없이 존중받고 그 나라에 대한 이미지(격)가 결정된다. 해외에서 활동하며 한국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작품 속 형상들은 변형과 왜곡 없이 우리의 정서 그대로 담았다. 한국의 역사, 자연, 사람은 새롭게 재해석 될 한국화의 소재로 사용하여 그것을 감상하는 세계인들에게 대한민국 미술의 격을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행사를 알리는 전문 잡지 <베니스 비엔날레> 6월호는 구구 킴을 전면에 걸쳐 소개했다. 이탈리아어와 영어로 동시에 게재된 이 기사는 구구 킴의 미술 세계를 분석하고 그와의 인터뷰를 게재하고 있다.

작년 12월에는 뉴욕 맨하탄에 자신의 이름을 딴 100평이 넘는 구구미술관을 하버드미술관 개회사로 개관하여, 한국 미술과 우수 작가의 작품을 소개하고 해외의 미술 흐름을 체험하고 소통할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구축했다. 그의 작품은 하버드 미술관(Boston, MA), MaMa Gallery(Los Angeles, CA), 중국 상하이 모리타워, 북경J미술관, 일본 노무라 증권, 미쯔비시은행, 타이세이건설, 한국 월전문화재단, 한국CPI협회(KSCPI) 등 다수 소장될 만큼 작품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2019년 7월 5일(금) ~ 7월 30일(화)까지 진행되는 H Gallery 청담 개관전과 가평에 위치한 인터렉티브아트 미술관 초대전에서  구구킴의 작품세계를 만나볼 수 있다.


인터뷰컬럼

더보기
김민웅 촛불행동 상임대표의 "김민석 신임 국무총리"에게...
[김민석 신임 국무총리 인준이 국회본회를 통과되자 민주당 의원들의 축하 인사 포토(경향신문 사진)] 김홍이 이상철 기자= 김민웅 촛불행동 상임대표의 국민주권 정부 초대 총리가 된 것을 축하하며, 주권자 국민을 하늘처럼 떠받들어 멸사(滅私)의 자세로 천하위공(天下爲公)을 위해 모든 것을 아낌없이 바치기를 바랍니다. 무엇보다도 마음의 온도를 소중히 여겨 이 세상에 가장 작은 이를 가장 먼저 품고 인의(仁義)와 덕(德), 사랑으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부터 따뜻한 손길을 펴기 기원합니다. 지혜의 근본이 될 것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참모장으로서 국민주권 정부를 성공하는 역사로 만들어가는 임무를 마치면 국민들로부터 뜨거운 박수를 받을 수 있기를 또한 기도합니다. 내란세력을 제압하고 조기대선으로 국민주권 정부를 세운 주권자 국민의 지난 3년간 끈질기고 웅혼한 기세로 펼쳐나온 불퇴전(不退轉)의 항쟁이 오늘을 있게 했다는 걸 단 한시도 잊지 말기를 바랍니다. 모든 판단의 기준이 될 것입니다. 한없이 낮은 자세로 주권자 국민과 함께 동고동락(同苦同樂)하고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훌륭한 총리가 되기를 기원하며, 하늘의 축복과 은총이 있기를 기도한다고 말했습니다. Reported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