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경실련, 인사혁신처는 떳떳하다면, 주식백지신탁 대상 장·차관들의 심사 내역 과 심사 기준을 공개하라 법적대응 경고!

 

 

 
 

  

 

경실련은 어제인 2023년 1월 26일(목) 오전 10시 30분, 경실련 강당에서 “윤석열정부 장·차관 주식백지신탁 실태발표” 기자회견을 가지며, 주식백지신탁 대상자 16명 중 주식 매각 및 백지신탁 신고자는 9명, 미신고자는 7명이며, 신고자 9명 중에서도 5명이 여전히 3,000만원 이상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음을 발표했다. 3,000만원 이상 보유시 주식 매각 및 백지신탁의 의무가 있음에도 직무관련성 심사를 내세워 보유를 허용하고 있지만 정작 심사내역을 비공개하여 공정한 심사여부에 대한 시민 감시를 어렵게 하는 만큼 비공개 처분에 대한 행정심판을 제기했음을 알렸다.

 

이에 대하여 인사혁신처는 주식백지신탁 의무 불이행이 의심되거나 매각 백지신탁 후에도 3,000만원 이상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장차관의 경우 주식백지신탁 심사위원회에 직무관련성 심사를 청구하여 ‘직무관련성 없음’ 결정을 받은 경우에는 3,000만원을 초과해도 해당 주식을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현재 장·차관들은 위와 같은 주식백지신탁제도 규정에 따른 절차를 거쳐 적법하게 주식을 보유하거나 처분”하였다고 즉각 해명하였다.

 

하지만 인사혁신처가 경실련의 직무관련성 심사 내역 정보공개청구에 대한 비공개 처분을 내린 상태에서 현재 장·차관들이 적법 주식 보유라는 해명을 내놓은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다. 왜냐하면 3,000만원 이상 주식 보유 장차관들 중 주식 매각 및 백지신탁을 신고하지 않은 7명의 장차관이 과연 제대로 직무관련성 심사를 청구했는지, 심사는 공정하게 이루어졌는지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직무관련성 심사 내역을 비공개하는 상태에서는 직무관련성 심사를 통해 적법하게 보유 중인 것인지, 아닌지 알기 어렵다. 따라서 인사혁신처는 장차관들이 적법할 절차에 따라 주식 관련 의무를 이행하고 있다고 해명하기 전에, 직무관련성 심사 내역과 심사 기준부터 투명하게 공개하기 바란다.

 

인사혁신처는 경실련의 주식 직무관련성 심사 내역 비공개 사유로, 공직자윤리법 제14조 및 제14조의4 제6항, 공직자윤리법 시행령 제19조제5항 및 제27조의6제4항 등에 따라 그 내역을 비공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실련이 어제 기자회견에서 밝힌 바와 같이, 공직자윤리법상에서 규정한 고위공직자 재산신고 및 공개제도, 고위공직자 주식백지신탁제도의 취지에 따라 고위공직자의 재산내역 및 주식백지신탁의 내역이 공개되고 있는 상태에서, 주식백지신탁의 예외로서 인정하고 있는 직무관련성 심사 내역에 대해 비공개하고 있는 인사혁신처의 처분을 받아들이가 어렵다. 이러한 인사혁신처의 불투명한 행정으로 고위공직자의 주식 관련 이해충돌 논란만 가중되고, 주식백지신탁제도에 따라 매각 및 백지신탁의 의무를 이행한 고위공직자, 그리고 적법하게 주식을 보유한 고위공직자들까지 곤란에 빠뜨리고 있다. 또한, 고위공직자의 개인정보를 사유로 비공개하는 것 역시, 개인정보를 이유로 고위공직자의 재산 공개, 고위공직자의 주식백지신탁 내역이 공개되지 않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억지 사유로 비공개하는 처분 당장 철회하기 바란다.

 

한편, 인사혁신처는 주식백지신탁 제도 대상자의 의무 불이행 및 지연에 대한 제재 처분 관련하여 비공개 처분한 것에 따라, 공직자윤리법 제22조, 제30조 등에 따라 해임 징계의결 요구, 과태료 부과 등의 제재 처분을 부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사혁신처가 정말로 주식백지신탁제도를 제대로 운용하고 있다면, 주식백지신탁 거부한 고위공직자, 주식백지신탁 및 직무관련성 심사 청구 지연된 고위공직자 명단 공개하고, 어떻게 제재 처분을 내렸는지 떳떳하게 공개하기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손경락/법률경제전문기자/변호사

김홍이/뉴스탐사기자/전청와대출입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속보> 논평, 촛불행동의 '김민웅 교수' "이재명 흔들기"는 윤석열 정권의 장기집권 전략!
김민웅 교수(촛불행동), 3월 7일 민주당 당대표 이재명 체포 동의안 부결 이후 당 내외에서 이재명 흔들기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조중동을 선두로 하는 여론공작은 기본적으로 윤석열 검찰독재의 정적제거, 야당말살 공작 지원이며, 당 내부의 이재명 사퇴 공격은 총선을 앞두고 당권 장악에만 골몰한 자들의 행패라고밝혔습니다. 그러나 이재명 문제는 어느 특정 정치인 제거의 차원을 넘어 정치검찰의 장기집권 구상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전선의 문제”입니다고 말하며, 국민과 정치검찰의 대치선이 그 핵심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래와 같이 김민웅 교수의 세부적인 설명입니다. 김민웅 교수 촛불행동의 호소, 국민과 윤석열 정치검찰의 대치선이 그핵심을 인식하고 판단, 행동하지 않으면 정치검찰의 술책에 휘말려 들어가기 십상이며 이 문제를 마치 이재명 개인의 결단으로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착시현상을 확증, 확대시켜가게 됩니다. 대단히 위험한 선택입니다. 상대가 검찰권력, 사법권력, 언론권력 모두를 한 손에 장악하고 있는 판에 이재명 개인이 단기필마로 이 국면을 돌파하라는 주장은 정신없는 소리에 불과하다고 말하고, 이재명을 정치적으로 무력화시킨 뒤에 따라올 것은 전투력없는 민주당과 정치

정치경제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