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이재명 후보, 전남 신안군 국민반상회에서 '국민의 생명'보다 더 귀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이재명 더민주당 대선 후보가 신안군민과 대화를 나누고있다>

 

이재명 후보 더불어민주당, 전남 신안에서 하늘을 나는 응급실 ‘닥터헬기’와 함께하는 국민반상회를 열었다. ‘닥터헬기’는 경기도지사 시절 전국 최초로 24시간 응급의료 전용 헬기를 도입하는 등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사안이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후보는 닥터헬기를 타고 넷째 아이를 하늘 위에서 낳았다는 희정씨의 생생한 경험담에 참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닥터헬기가 닿기 힘든 곳이라면 어땠을까 상상하니 아찔하기도 말했다.

전남은 섬이 많아 닥터헬기가 더욱 ‘열일’해야하는 지역입니다. 하지만 착륙장이 없는 섬들이 꽤 있어, 서둘러 예산을 마련하고 착륙장을 확보해야 합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달린 중대한 문제인 만큼 우리 민주당에서 잘 챙길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재명 후보는 사는 곳이 다르다는 이유로 소중한 생명을 살릴 기회를 누리지 못해선 절대 안 된다고말하며 생명을 살리는 데 비용을 아끼지 않는 나라여야 진정한 의료 선진국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후보, 국민반상회에서 신안군민과의 만남에 대해 질문에 답을 하고있다>

 

<신안군 닥터헬기 포토 전경>

 

 

 

 

 

Reported by

김홍이/뉴스탐사기자

강동희/문화환경기자

김학민/국회출입보건의료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김경호 변호사, 12일 서울구치소장 김현우의 헌법 위에 서려는 오만, 국기(國基)를 흔들다!
[김현우 서울구치소장 포토] (김경호 변호사의 칼럼) 김홍이 황일봉 기자=[칼럼] 김경호 변호사의 서울구치소장 김현우의 헌법 위에 서려는 오만, 국기(國基)를 흔들다 김 변호사는 공직자는 법의 수호자이지, 주인이 아니다. 국가의 녹을 먹는 자는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헌법과 법률에 부여된 책무를 성실히 수행할 의무를 진다. 그러나 서울구치소장 김현우가 보여준 행태는 이러한 공직의 대의를 정면으로 배신하고, 법치주의의 근간을 스스로 허무는 오만의 극치이다.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내란수괴 혐의로 수감된 전직 대통령의 체포 과정에 대한 자료를 요구했다. 이는 '황제 수용'이라는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고, 국가 형벌권 행사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극히 정당한 헌법적 권한 행사이다. 그러나 김현우 소장은 이를 정면으로 거부했다. 그는 국회법보다 하위법인 정보공개법의 '사생활 보호' 조항을 얄팍한 방패로 삼아 국민의 눈과 귀를 가로막았다. 이는 단순한 법리 오해가 아니다. 명백한 직권남용이자, 의도적인 헌정 질서 유린 행위이다. 국회의 자료제출요구권이 다른 법률에 우선한다는 '국회증언감정법'의 명문 규정을 모를 리 없는 공직자가, 법률의 위계질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