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주한영국문화원,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 기념 ‘셰익스피어, 시대를 도발하다’ 개최

17일(목)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려
영국 런던 퀸 매리 대학의 연극 및 공연 전공 교수이자 브라질·영국서 25년간 인권 기반의 예술 프로젝트 해 온 폴 헤리티지 교수 초청
시간과 장소를 거슬러 여전히 우리에게 주효한 메시지를 전하는 셰익스피어에 대해 역사적 맥락 및 현대적 관점에서 고찰


(뉴스와이어) 주한영국문화원(원장 마틴 프라이어 Martin Fryer)이 17일 ‘셰익스피어, 시대를 도발하다’라는 주제로 열네 번째 지식강연 시리즈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

이번 강연은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살림터 3층 디자인나눔관에서 오후 6시 30분부터 진행될 예정이며, 25년간 영국과 브라질에서 셰익스피어와 연극을 매개로 인권 기반의 예술 프로젝트를 진행해 온 런던 퀸 매리 대학(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의 폴 헤리티지 교수(Professor Paul Heritage)를 초청한다. 



폴 헤리티지 교수는 영국 런던 퀸 매리 대학의 연극 및 공연 전공 교수이자 사회 정의를 위한 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는 ‘피플스 팰리스 프로젝트’(People’s Palace Projects, 이하 PPP)의 아트 디렉터이다. 25년간 영국과 브라질에서 수천 명의 죄수와 간수, 그들의 가족들과 함께 예술 기반의 교도소 프로젝트(HIV/AIDS 교육과 인권 운동)를 해 왔으며, 위와 같은 일련의 활동을 통해 2004년 브라질 정부로부터 리오 브랑코(Rio Branco) 공로 훈장을 받기도 했다. 

주한영국문화원 마틴 프라이어 원장은 “폴 헤리티지 교수는 셰익스피어와 연극을 매개로 영국과 브라질을 넘나들며 문화 교류에 힘써 온 공연예술 전문가이자 파벨라(Favela)라고 불리는 브라질 난민촌에서부터 감옥 현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소에서 예술을 매개로 인권의 메시지를 전해 온 활동가이자 혁신가”라며 “강연을 통해 한국의 젊은이들이 셰익스피어 작품의 개별 스토리를 넘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전히 주효한 그의 메시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번 강연에서 폴 헤리티지 교수는 셰익스피어가 왜, 어떻게, 어디에서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여전히 우리를 도발하는지 질문을 던질 예정이다. 400여 년 전 런던에서 선보인 셰익스피어의 초창기 연극에서부터 오늘날의 연극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볼 뿐 아니라, 지난 25년간 브라질이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셰익스피어 텍스트와 연극을 어떻게 지역의 목소리로 중요하게 만들었는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다. ‘햄릿’, ‘헨리 5세’, ‘로미오와 줄리엣’,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등 셰익스피어의 여러 연극을 통해 관객들과 함께 여전히 우리에게 중요한 셰익스피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본 강연은 무료로 진행되며, 강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강연 개요] 
주제: 셰익스피어, 시대를 도발하다(Shakespeare Provokes) 
강연자: 폴 헤리티지 교수(Professor Paul Heritage) 
-런던 퀸 매리 대학(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연극 및 공연 전공 교수 
-피플스 팰리스 프로젝트(People’s Palace Projects, PPP) 창립자 및 아트 디렉터 
일시: 2016년 03월 17일(목) 18:30-20:30 
장소: DDP(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디자인나눔관 살림터 3층 
프로그램 파트너: DDP 
미디어 파트너: JEI English TV(재능 영어방송) 

[폴 헤리티지 교수(Professor Paul Heritage) 약력] 
폴 헤리티지 교수는 런던 퀸 매리 대학(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의 연극 공연 예술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회 정의를 위한 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는 People’s Palace Projects(PPP)의 창립자이자 아트 디렉터이다. 

또한 셰익스피어 글로브 씨어터, 로얄 셰익스피어 컴퍼니 등 영국 주요 예술 기관과 일하면서 영국의 관객들에게 브라질 극단을 선보이는 역할을 해 왔다. 영 빅(Yong Vic) 극장에서 아마존 페스티벌Festa|Amazônia(2008)을 기획했고, 이 페스티벌은 1년간 진행한 퍼포먼스 프로젝트로 런던과 아마존 지역의 수백 명의 참가자, 수천 명의 관객과 함께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AHRC(Art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의 후원을 받아 예술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변화를 추구하는 영국의 청년&커뮤니티 그룹과 브라질 빈민가의 예술가들 사이의 교류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헤리티지 교수는 2012 런던 페스티벌(London 2012 Festival)의 메인 프로젝트인 ‘Rio Occupation London’의 제작 프로듀서였으며, 브라질 리오에서 ‘올림픽’과 ‘장애인 올림픽’의 문화포럼 및 Arte sem Limites(영국 장애 예술 페스티발)을 공동 기획하기도 했다. 브라질 정부로부터 2004년에 리오 브랑코(Rio Branco) 공로 훈장를 받았다. 

[지식강연 시리즈] 
영국문화원에서는 ‘Education is GREAT Public Lecture Series’라는 지식강연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다. 본 강연 시리는 주한영국문화원 개원 40주년을 기념해 2013년 시작된 행사로 인문, 사회, 경제, 과학, 예술 분야를 이끄는 리더들 가운데 영국과 관련된 인사를 초청해 진행된다. 

2013년에는 옥스포드대학교의 앤드류 해밀턴 총장, 브리스톨대학교 실험심리학과 브루스 후드 교수,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희선 박사, 스포츠 댄스 선수 박지우, 드림웍스의 인재개발 이사 쉘리 페이지가 강연자로 참여해 미래인재, 뇌과학, 과학수사, 창의인재, 애니메이션에 관해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 

2014년에는 이돈태 탠저린 공동대표, 유니버시티 컬리지 런던의 휴 몽고메리 교수, 트리니티 라반 대학교의 안소니 보운 총장, 런던 예술대학교의 나이젤 캐링턴 총장을 초청해 강연을 했으며, 2015년에는 영국문화원의 예술사업 총괄본부장인 그래함 셰필드와 롯데 콘서트홀 김의준 대표, 영국 테이트 미술관(Tate Museum)의 아시아 태평양 미술 연구소(Tate Research Center: Asia-Pacific) 책임 큐레이터인 이숙경 박사, 영국 최연소 에베레스트 등반가이자 모험가 제임스 후퍼, 과학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이자 코미디언인 스티브 크로스 박사를 초청했다. 이번 강연은 2016년 첫 강연이자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강연으로, 열네 번째 지식강연 시리즈이다.

주한영국문화원 개요 

영국문화원은 문화 관계와 교육 분야의 영국 국제기관이다. 영국문화원은 영국 및 전 세계 사람들에게 국제적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전 세계인들 사이의 신뢰를 구축하고 있다. 
영국문화원은 2천 명의 영어강사를 포함한 8천 명의 직원이 100 여 개국에서 근무하며, 매년 영어를 교육하고 예술/교육/사회 분야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수천 명의 전문가와 정책입안자들과 협력해 수백만 명의 젊은이들과 일하고 있다. 
주한영국문화원은 1973년 8월 한국에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영국유학 안내, 어학원, 아이엘츠(IELTS)와 앱티스(Aptis)와 같은 영국 시험 운영 등의 서비스 및 문화예술, 사회적 기업 육성, 국공립 영어교사·특성화 고교 교사 연수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젝트와 교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영국문화원은 영국 왕실 인가(Royal Charter)의 지배를 받는 자선기관이다. 주요 정부 보조금은 2013-14년 매출액 8억 6천 4백만 파운드의 20퍼센트를 차지한다. 나머지 수입은 영국문화원의 어학원과 시험과 같은 서비스 이용에 따르는 수수료, 교육 및 개발 프로젝트 계약금, 공공 기관 및 일반기업과의 파트너십/스폰서십 지원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국문화원의 모든 활동은 자선기관으로서의 목적을 추구하고 영국과 전 세계의 번영과 안전을 지지한다. 
주한영국문화원의 다양한 행사와 뉴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주한영국문화원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으며, 영국유학 홈페이지 및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서도 각종 소식과 이벤트 등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된다.
주한영국문화원 영국유학 홈페이지: http://www.educationuk.org/korea
주한영국문화원 블로그: http://blog.britishcouncil.or.kr
주한영국문화원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britishcouncilkorea
주한영국문화원 아트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kr.arts.britishcouncil ...
주한영국문화원 트위터: http://twitter.com/krBritish
출처: 주한영국문화원

인터뷰컬럼

더보기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7월 7일 李 政部의 정성호 법무장관 후보의 검찰개혁, 이대로 괜찮은가??
[더불어민주당 김용민ㆍ민형배 의원 등 강력한 검찰개혁 서명서 발표 포토] 김홍이/이상철 기자=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의 성명서 7월 7일 정치는 낙관의 예술이다. 특히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어떤 암운 속에서도 희망의 불씨를 지켜온 우리 국민에겐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희망은 맹신과 다르다. 희망은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오늘의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할 때 더욱 단단해진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조심스레 ‘정성호 법무장관의 검찰개혁 구상’에 대해 깊은 우려와 건설적 견제를 함께 나눠야 한다. 정성호 장관은 서울법대 출신이다, 검사 출신은 아니나 검찰 조직과 학연·직연으로 엮인 사람이다. 그가 국회에서 언급한 “검찰개혁은 여야 합의로” “헌법상 검찰총장은 존재해야 한다”는 발언은 얼핏 중도적 균형감각처럼 보이지만, 실은 검찰의 구조적 권한 분산보다는 유지 내지 재편으로 들린다. 그가 제시한 ‘기소검찰청’과 ‘중대범죄수사검찰청’의 이원화 구상은 민주당이 일관되게 추진해온 ‘수사와 기소의 완전 분리’ 원칙을 흐리는 위험한 설계다. 결국 기존 검찰 권한의 분산이 아닌, 권력의 ‘복수화’에 그칠 공산이 크다. 기소 검찰총장 공소 검찰총장을 만들어 오히려 혹을 하나 더 븥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7월 11일 오늘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산업과 및 한국산업단지공단과 간담회... 김동아 의원(더불어민주당)특화단지 조성 및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산자위 위원 포토)] 김홍이/이상철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의원은 7월 11일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와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및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였다. 반도체는 과거 산업혁명기의 석탄과 석유처럼, 현대 산업의 기반이자 '산업의 쌀과 공기'라고 불리는 핵심 전략 물자이다고 말하고, 해외 선진국들이 앞다퉈 대규모 국비지원과 세제지원 등으로 반도체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이유이기도 한다고말했다. 또한 김동아 의원은 반도체 산업은 비단 대기업뿐 아니라, 수많은 국내 중소기업과 협력업체들의 생존과도 직결되어 있고, 지역 경제와 산업 생태계 전반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따라서 '코리아 엑소더스'를 막고,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속에서 대한민국이 기술 주도권을 지킬 수 있도록 국회가 적극 나서야 합니다. 다만, 현재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된 첨단산업 인프라를 지방으로 분산하고, 지역 간 균형 있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회 산자위 위원으로서 관련 입법과 정책, 예산 전반을 면밀히 살피겠다고도 밝혔습니다. 과감한 지원은 하되, 형평성과 투명성을 원칙으로 삼아 대기업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