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이낙연 캠프, 윤석열 검찰의 ‘고발 사주’ 의혹 등 '녹취록 일부' 실체 확실해졌다고 밝혀!

<이낙연 대선 예비 후보>

 

이낙연 후보와 캠프, 윤석열 검찰의 ‘고발 사주’가 의혹을 넘어 점점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어제 전직 검사였던 국민의힘 김웅 의원과 고발사주 의혹의 공익제보자 조성은 씨의 통화 녹취록 일부가 보도됐습니다. 윤석열 씨 측근인 손준성 검사를 출처로 하는 고발장 전송 당시의 통화였습니다. 말바꾸기와 모르쇠로 일관해 온 정치 검찰의 대응도 이제는 효력이 다해가고 있습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고발장을 써서 보내줄 테니 대검에 접수하라"
"내가 대검에 가면 윤석열이 시킨 게 된다"
"검찰 색을 빼야 한다"
김웅 의원과 공익제보자의 대화 속에서 김의원은 검찰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신경을 썼지만, 그가 한 말들은 청부 고발이 윤석열 검찰의 지시이며 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인식했음을 드러냅니다. "몰랐다" "기억 안 난다" 는 그동안의 거짓 변명으로 덮을 수 없습니다고 말했다.

고발사주 의혹의 핵심은 고발장의 작성-전달-실행으로 이어지는 과정이 제대로 규명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이번 녹취록에는 당사자 간 직접대화가 담겨 있기 때문에, 고발장 전달 과정을 파헤칠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그 의미가 큽니다. 무엇보다도 김의원이 말 한 ‘우리’ 에 윤석열 씨가 포함되는지가 집중적으로 규명되어야 합니다. 머지 않아 정치검찰이 음지에서 어떤 방식으로 권력을 거래하고 정의를 흥정했는지, 만천하에 드러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행히 공수처 수사는 사건의 핵심을 겨냥하고 있는 듯 합니다. 
이번 통화 녹취본 복구는 손준성 검사가 고발사주 과정에 관여한 사실이 확인돼, 검찰이 사건을 공수처로 이첩한 지 일주일 만의 일입니다. 고발사주의 책임과 진상규명에 더욱 박차를 가해주기바랍니다며

따라서 마지막으로 윤석열 씨에게 요구한다고 말하고 윤석열 씨는 지금이라도 대선 출마를 포기하고 수사에 응해야 옳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의 손바닥 임금 왕자 일, 계속 되는 태도 논란과 여성 비하 망언 등 셀 수 없는 논란과 엉터리 해명은 국민들께 허탈감을 드리기에 이르렀으며, 그런 터에 용서못할 국기문란, 검찰권력 사유화를 적나라하게 증명하는 고발사주마저 그의 책임으로 귀착됩니다. 윤석열씨는 예비후보를 사퇴하고 수사부터 받으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국민의힘 역시 사건의 본질을 흐리려는 시도를 중단해야하고 국민들은 고발사주가 어떻게 실행됐는지도 따져묻고 주목하고 있으며, 공수처 수사에 적극 협조하며 공당으로서의 본분을 다하기를 바랍란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학민/국회출입기자

권오춘/국회출입사진기자

김홍이/뉴스탐사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강선우 장관 후보, 감성적이고 편리적으로 보좌관을 대했고, 세밀한 부분과 인권의 아쉬움? 강선우 후보의 인품과 실력에 대해 의심할 필요없다!
[강선우 의원은 비가오나 눈이오나 민주당에 최선을 다하고있다] 김홍이 기자=강선우 여성가족부 정관 후보자에 대해 한시민이 이 글을 올리기까지 생각이 많았다고한다. 나는 강선우 의원과 페친도 아니도 지인도 아니다. 이재명대표가 소위 수박이라고 칭하는 의원들로 인해서 힘들던 21대 국회에서 이 대표와 함께한 대변인이 강선우 의원이었기에 이재명 대표를 잘 대변했으면 했다. 대표가 단식할 때 대변인이기에 대표 옆에 있으며 보인 강 의원의 우울한 표정과 자세가 마치 대표의 단식을 보는 나의 마음 같았다. 2년 전 가을 강서 구청장 재보선이 중요한 선거였기에 나름 강서구에도 가고 강서구에 사는 분들에게 연락도 하였다. 그래서 선거를 응원하는 분들을 보았다. 생각보다 다소 인간관계를 쌓으려는 분들이 있음을 보았기에 걱정이 들었다. 그런데 간절하게 돕는 강선우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작년 22대 강 의원이 재선이 되고 작년 여름 남대문에서 윤석열탄핵 집회가 있을 때 강선우 의원을 옆에서 본 적이 있었다. 강한 볕인데 모자도 안 쓰고 반듯한 자세로 끝가지 참여하는 모습을 보며 고맙다는 마음도 들었고 직관적으로 진정성이 느껴졌다. 그래서 페북에 민주진영 응원 포스팅에 강 의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