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2028 올림픽 종목 선정 목표 세계프리스타일 총재 우희용

축구공 하나로 세계를 제패한
세계 프리스타일 축구 연맹 총재 우희용

2028년 올림픽 종목선정 목표!!

축구공 하나로 세계를 재패한

세계프리스타일축구연맹 총재 “우희용”

2022년 5월, 종주국 한국에서 또 세계대회 열려...호나우지뉴 참석

청소년기에 운동에 매진하다 부상을 당하면 대개 포기하고 만다. 하지만 그의 축구 사랑은 부상으로 막을 수 없었다.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 프리스타일 축구에 열정을 담았다.

축구를 포기하게 했던 부상은 경기 중이 아니라 ‘유난히 운이 없던’ 축구선수 생활 중에 발생했다. 

축구부에 들어가기 위해 서울로 전학 왔으나 1년 만에 축구부가 해체되고, 호적상 1살이 많아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경기를 뛰는 등 운이 따라주지 않았다.

결국 혼자서 훈련을 해야 했고 피로골절 누적으로 인해 성장뼈 손상으로 운동을 그만둬야 했다.

하지만 그는 공을 놓지 않았다. 1989년 축구 헤딩부문 기네스북등재(5시간 6분 30초)로 세상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각종 월드컵에서 초청공연을 하고 있다.

세계프리스타일 축구연맹총재(우희용)는 2004년 프리스타일 축구 세계대회(런던), 2012년 이태리에 이어 2019년 6월 한국에서 프리스타일 축구 세계대회를 개최하였다.

현재 200여 개국의 놀이로 자리 잡은 프리스타일 축구가 스포츠계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하기까지 그가 흘린 땀과 열정은 우희용 총재를 세계적인 묘기 축구의 대가라고 칭송하기에 충분하다.

우희용 총재는 “프리스타일이 올림픽의 정식종목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끝까지 길을 이어갈 것이다”며 포부를 밝혔다. 한편, 최근 올림픽정식종목 채택에 대한 긍정적인 바람이 불고 있다.

2022년 5월 종주국인 한국에서 세계대회가 개최되며, 프리스타일 축구의 이름을 알릴 수 있도록 도와준 호나우지뉴가 초청될 예정이다

 

축구 묘기 아티스트' 우희용씨가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팀 풀햄 FC의 홍보대사로 선정됐다.

프리스타일 축구는 현재 공연, TV광고·방송, 온라인 게임, 축구 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돼 발전 중이다. 

우총재는 최근 풀햄 구단의 '공식 홍보대사(FFC Community Ambassador)'가 됐다는 레터를 받았다.

이 계약에 따라 다음달 7일 풀햄과 미들즈버러의 경기부터 킥 오프 직전과 하프타임에 현지 팬들에게 축구 묘기를 선보이게 된다.

김학민기자

김홍이기자

조  설  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