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 오늘 청와대에서 신임 박범계 법무부장관, 한정애 환경부 장관, 황기철 국가보훈 처장 임명장 수여!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박범계 법무부 장관, 한정애 환경부 장관, 황기철 국가보훈처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박범계 법무부 장관, 한정애 환경부 장관, 황기철 보훈처장, 임명장 수여 후 오찬장으로 이동하고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은 임명장을 수여한 뒤, 대통령은 당부의 메시지를 담은 각각의 꽃다발을 수여자들과 함께 청와대를 찾은 배우자들에게 전달했습니다. 

먼저, 법무부 장관에게는 검찰·법무 개혁을 완결하고, 인권과 민생 중심의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해 달라는 당부의 의미로 장미꽃 한 송이와 초롱꽃을 전했습니다. 한 송이 장미는 '완결'을, 초롱꽃은 '정의'를 의미합니다.

환경부 장관에게는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의미하는 자목련을 건넸습니다.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을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통합 물 관리 체계 구축, 미세먼지 저감, 폐기물의 효율적 처리와 재활용 같은 중요한 환경 정책 과제에 가시적 성과를 창출해 달라는 당부의 의미입니다.

국가보훈처장에게는 '당신을 잊지 않겠습니다'는 의미의 물망초와 '감사'의 의미를 담은 카네이션, 균형의 의미를 담은 '층꽃'을 선사했습니다. 여기에는 국가를 위한 희생과 헌신에 대한 책임있는 지원과 독립·호국·민주 3대 영역 간의 균형을 통한 국민 통합에 기여해달라는 당부의 의미를 담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참석자들은 이후 환담을 이어갔습니다. 대통령은 두 장관과 국가보훈처장에게 먼저 "소감과 포부를 말씀해 달라"고 주문했습니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검찰 개혁과 관련한 제도개선안을 잘 마무리하고, 검찰의 정의가 ‘나홀로 정의’가 아닌 수용자나 구성원이 받아들일 수 있는 ‘공존의 정의’가 되도록 조직문화를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박 장관은 “검사들을 설득하기 이전에 직접 소통을 통해 이해를 구하고 동참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전 지구적 과제인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마련하는 것부터 실마리를 찾지 못한 갈등 과제까지 어느 것 하나 쉬운 업무가 없지만 힘있게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또, 한 장관은 미국 측의 요청으로 존 케리 기후특사와 지난 27일 양자 회담을 한 결과를 설명하면서 “미국 측이 한국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황기철 국가보훈처장은 “명예로운 자리를 맡겨주셔서 감사하다. 대통령께서 보훈업무를 남달리 배려해 큰 성과가 있었다”면서 ‘로봇 의족’ 전달 행사 얘기를 꺼냈습니다. 어제 국가보훈처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유공자들에게 ‘스마트 보철구’ 전달식을 했다며 간접적 보고 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권오춘 사진기자

김홍이 기자/PD


인터뷰컬럼

더보기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