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컬럼

꽃피는 아침마을 SNS서비스 ‘이야기꽃밭’, 오픈 한달만에 2000게시글 돌파

스토리커머스 ‘꽃피는 아침마을’, 자체 SNS 서비스 ‘이야기꽃밭’으로 인기몰이
소비자-판매자간 소통을 높이는 스토리커머스의 새로운 서비스 모델



스토리커머스 ‘꽃피는 아침마을(대표 최동훈, 이하 꽃마)’이 운영하는 SNS 서비스 ‘이야기꽃밭’이 화제다. 꽃마 자체 데이터분석에 따르면 지난 4월 정식서비스 오픈 후 한 달만에 약 2,000건 이상의 게시글과 약 5만건 이상의 댓글이 달리며 이용자 간 커뮤니케이션 툴을 잘 조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야기꽃밭은 꽃마 회원인 꽃마주민들이 서로 소통하는 꽃마앱 안의 SNS 공간으로서 일반적인 쇼핑몰들이 페이스북이나 카카오스토리와 같은 기존 SNS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과는 다르게 꽃마가 직접 만들어 운영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쇼핑몰에서 운영하는 SNS서비스가 잘 될것인가 라는 우려와 다르게 그동안 쌓아온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많은 꽃마주민이 활발하게 사용하며 활성화되고 있다. 


이야기꽃밭에서는 상품의 구매후기 뿐만 아니라 글, 사진, 동영상 등 서로의 관심사를 올려서 공유할 수 있고 공감, 공유, 댓글, 맨션, 해시태그 등 기본적인 SNS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서비스 런칭 이후 가게주인들이 직접 올리는 가게소식들이 특히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평소 이용하는 제품과 먹거리들이 만들어지고 재배되는 과정을 빠르고 생생하게 접할 수 있어서 꽃마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있다. 판매자인 가게주인들도 꽃마주민들의 반응을 더 가깝게 느낄 수 있게 되어서 서비스품질 향상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며 새로운 콘텐츠 생산에 열정을 보이고 있다. 


꽃마의 인기코너인 ‘행복한 밥상을 위하여’에서는 배송 전 택배상자의 내용물을 촬영하여 회원의 이야기꽃밭에 올려주는 서비스를 시범운영중이다. 신선식품 위주인 만큼 배송받을 내용물을 미리 확인할 수 있어 높은 만족도를 얻어내고 있다. 


꽃마의 최동훈 대표는 “꽃피는 아침마을이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다른 쇼핑몰들과는 다르게 이용자간에 공동체적인 성격이 강하다”며, “이야기꽃밭 활성화로 소통의 채널을 늘리며 앞으로도 스토리커머스의 선구자 자리를 지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꽃피는아침마을 개요 


꽃피는 아침마을은 좋은 의식주 문화를 키워가는 ‘건강 및 행복 공동체’를 지향하는 인터넷 쇼핑몰이다.

출처: 꽃피는아침마을

웹사이트: http://www.cconma.com


인터뷰컬럼

더보기
강선우 장관 후보, 감성적이고 편리적으로 보좌관을 대했고, 세밀한 부분과 인권의 아쉬움? 강선우 후보의 인품과 실력에 대해 의심할 필요없다!
[강선우 의원은 비가오나 눈이오나 민주당에 최선을 다하고있다] 김홍이 기자=강선우 여성가족부 정관 후보자에 대해 한시민이 이 글을 올리기까지 생각이 많았다고한다. 나는 강선우 의원과 페친도 아니도 지인도 아니다. 이재명대표가 소위 수박이라고 칭하는 의원들로 인해서 힘들던 21대 국회에서 이 대표와 함께한 대변인이 강선우 의원이었기에 이재명 대표를 잘 대변했으면 했다. 대표가 단식할 때 대변인이기에 대표 옆에 있으며 보인 강 의원의 우울한 표정과 자세가 마치 대표의 단식을 보는 나의 마음 같았다. 2년 전 가을 강서 구청장 재보선이 중요한 선거였기에 나름 강서구에도 가고 강서구에 사는 분들에게 연락도 하였다. 그래서 선거를 응원하는 분들을 보았다. 생각보다 다소 인간관계를 쌓으려는 분들이 있음을 보았기에 걱정이 들었다. 그런데 간절하게 돕는 강선우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작년 22대 강 의원이 재선이 되고 작년 여름 남대문에서 윤석열탄핵 집회가 있을 때 강선우 의원을 옆에서 본 적이 있었다. 강한 볕인데 모자도 안 쓰고 반듯한 자세로 끝가지 참여하는 모습을 보며 고맙다는 마음도 들었고 직관적으로 진정성이 느껴졌다. 그래서 페북에 민주진영 응원 포스팅에 강 의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