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배달알바 10명 중 6명 “근로계약서 안 쓰고 일한다”

배달알바 근무환경, 패스트푸드점 ‘주의보’, 영세식당 ‘경보’

  • 배달알바 근무환경, 패스트푸드점 ‘주의보’, 영세식당 ‘경보’ 
    ‘일반소규모 식당’ 배달원 10명 중 9명, 4대 보험 가입 안돼 
    배달알바생 절반, ‘주문량 대비 인력 부족하다’, 개선점 1위로 꼽아

서울--(뉴스와이어) 2015년 10월 21일 -- 최근 배달 업무를 하다 척수손상 사고를 당한 고등학생에게 산재 보상을 해줄 필요가 없다는 판결이 나온 가운데, 실제로 배달 알바생 상당수가 근로기준법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밝혀져 대책 마련이 제기되고 있다.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 www.alba.co.kr)이 배달 알바 경험이 있는 알바생 239명을 대상으로 ‘배달·배송 아르바이트 실태’ 설문을 진행한 결과 64.5%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고 응답했으며, 이중 18.1%는 ‘작성해야 하는 사실조차 몰랐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일반소규모 식당’(야식·중식·분식) 종사자의 경우 무려 82.2%에 달해 ‘패스트푸드점’(39.4%)을 2배 이상 웃돌아 눈길을 끌었다. 

4대 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비율 역시 ‘일반소규모 식당’(89.2%)이 ‘패스트푸드점’(56.9%)보다 압도적으로 높아 전체적으로 배달 알바생에 대한 처우는 ‘일반소규모 식당’이 ‘패스트푸드점’에 비해 훨씬 더 열악했다. 

또한 배달 사고 방지를 위해 개선이 가장 시급한 사항 1위로 ‘부족한 배달 인력 충원’(22.8%)이 꼽힌 가운데, 전체 53.9%는 ‘주문량 대비 배달 인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배달 알바생 2명 중 1명은 제한된 인력으로 강도 높은 근무를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배달업종별로 보면 ‘패스트푸드점’ 종사자는 47.2%가 ‘배달 인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밝혔고, ‘일반소규모 식당’ 종사자의 경우 61.7%가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해 업무 강도 역시 영세한 식당일수록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알바천국 관계자는 “인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배달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자칫 위험한 사고로까지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안전배달 문화를 증진하기 위해 업체와 구직자 모두 근로기준법 준수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의 말을 전했다. 

한편, 알바천국은 이러한 불합리한 근로환경을 개선하고 올바른 채용 문화와 알바생 권리 존중 의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아르바이트 포털 최초로 ‘G마크 채용공고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알바천국이 인증하는 바른 채용공고를 의미하는 G(Guarantee)마크는 채용공고 등록 시 △‘4대보험 가입’,△‘최저임금 준수’, △‘서면 근로계약서 작성’, △‘임금 미체불’, △‘근로자의 인격 존중’ 등 5가지 사항을 서약하면 부착된다. 

알바천국 최인녕대표는 “G마크는 근로기준법 사각지대에 놓인 아르바이트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라며 “건강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구인사들의 G마크 부착을 더욱 활성화 시키고, 구직자들에게는 G마크 채용공고를 잘 선별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캠페인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김경호 변호사, “조희대가 쏘아 올린 특검 외 특별재판부 설치,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과제”... 민주당 법리검토 착수!
<민주당 의원들의 대법원 앞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은 사퇴하라 시위 포토> 김홍이 기자=5월 8일 김경호 변호사, “조희대가 쏘아 올린 특검 외 특별재판부 설치,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과제”... 민주당은 법리검토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 Ⅰ. 서론 윤석열 전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에서 파면되었을 뿐만 아니라, 반란수괴·직권남용·일반이적죄 등의 중대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러나 사법부는 지귀연 판사의 위법한 구속취소결정과 특혜재판 논란과 대법원장의 정치적 편향 의혹으로 신뢰를 잃었으며, 검찰 역시 반란이 아닌 내란 기소와 직권남용 불기소 결정과 ‘즉시항고’ 사기극 등으로 국민에게 등을 돌렸다. 이런 상황에서 공정하고 투명한 수사를 위해서는 특검뿐 아니라 특별재판부 설치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Ⅱ. 사법·검찰 불신의 배경 반헌법적 비상계엄 시도, 군을 동원한 국회 무력화 기도 등 윤석열의 혐의는 민주공화국 질서를 뒤흔드는 대역 중죄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대법원은 오로지 ‘이재명 죽이기’로 “상고심으로서의 법률심 한계를 벗어났다”는 지적을 받았고, 지귀연 판사는 탄핵사유 논란까지 일으켰다. 검찰도 직권남용죄를 일부러 불기소 처리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