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윤대통령의 명예훼손, 한상진 기자와 이건웅 검사... 올가을 한 사람은 "언론인 생명 끝" "검사 탄핵"으로 치명타!!!

국민을 상대로 한 한상진 기자의 주장이 거짓이라면 언론인 생명은 끝나는 것이고, 법원을 상대로 한 이건웅 검사 등의 주장이 거짓이라면 수사와 탄핵 대상이 된다. 

 

지난 대통령 선거운동 기간 뉴스타파의 후보자 검증 보도가 후보이던 윤석열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검찰이 수사한 사건 재판이 오는 24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앞서 세 차례 공판준비 기일에서는, 재판부가 공소 내용이 불명확하다고 지적하고 이에 검찰이 공소장 일부를 변경했다.
형사재판은 검찰이 유죄를 입증하는 절차이다. 피고인이 무죄를 입증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에 기소된 뉴스타파 김용진 대표와 한상진 기자도 앞으로 검찰의 명예훼손 범죄 주장을 반박하는 일을 하게 된다. 다만 검찰의 기소 자체가 불법이라면, 피고인도 무죄가 아닌 공소기각을 법원에 요구할 수 있다.
이번 재판에서 뉴스타파는 검찰 수사가 불법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검찰이 법원에 제출한 증거기록 가운데 조작된 증거가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뉴스타파가 조작 증거라고 주장하는 검찰 수사기록에서는 오히려 뉴스타파가 허위 주장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뉴스타파가 사법시스템을 흔들고 공격하고 있다고 했다. 
검찰의 증거기록이 조작된 것이라고 말하는 이는 한상진 기자고, 한상진 기자의 주장이 허위이며 사법방해라는 수사관 보고서에 도장을 찍은 이는 이건웅 검사이다. 한상진 기자는 이러한 주장을 여러 언론에서 했고, 이건웅 검사를 비롯한 검사들은 법정에서 주장했다. 즉 자신의 사회적 생명을 걸고 싸우는 셈이다. 
국민을 상대로 한 한상진 기자의 주장이 거짓이라면 언론인 생명은 끝나는 것이고, 법원을 상대로 한 이건웅 검사 등의 주장이 거짓이라면 수사와 탄핵 대상이 된다. 

검찰 특별수사팀이 법원에 증거기록으로 제출한 수사보고서의 첫 두 쪽. 한상진 기자 휴대전화에서 ‘윤석열 잡아야죠. 한건 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발견됐는데도, 한상진 기자는 ‘윤석열 잡아야죠’만 있다는 허위 사실을 퍼뜨려 사법시스템을 공격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 사건을 담당하는 이건웅 검사 직인이 찍혀 있다.
뉴스타파가 조작이라 주장하는 수사기록 내용은 지난 4월 열린 공판 전 증인신문에서 시작한다. 당시 뉴스타파 편집기자와 영상기자가 임의수사인 참고인 조사에 나가지 않자, 검찰이 이들을 법정으로 불러냈다. 이 자리에서 검찰은 갑자기 한상진 기자가 ‘윤석열 잡아야죠. 한건 했습니다'라는 문자를 보냈다고 했고, 방청석에 있던 여러 언론사 기자가 일제히 기사화했다. 
이후 당사자인 한상진 기자는 검찰의 이러한 질문이 허위라고 주장했다. 뉴스공장 등 유튜브 시사 프로그램에 출연해 “‘윤석열 잡아야죠’라는 문자를 보낸 적은 있지만 ‘한 건 했습니다’라는 문자는 보낸 적도 받은 적도 없다”라고 했다. 그러자 검찰은 한상진 기자의 주장이 허위이며 사법방해라는 보고서를 만들었고, 이번에 법원에 제출했다. 
검찰의 증거 조작은 범죄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0년 일본 오사카지검 특수부 증거 조작이다. 2010년 아사히신문 보도로 ‘장애인 우편요금 할인 악용 수사’에서 검찰이 유죄를 받아내려 증거를 삭제한 사실이 드러났다. 주임검사 마에다 쓰네히코가 징역 1년 6개월 실형을, 특수부 부장 오쓰보 히로미치와 부부장 사가 도모아키가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아 확정됐다. 
한상진 기자와 이건웅 검사 가운데 누가 거짓말을 하는지 올가을 드러날 것이고, 이들 가운데 한 사람의 언론인으로서 혹은 법조인으로서 사회적 생명은 끝날 수밖에 없다. 

※ 검찰 보고서를 인용한 대목에서는 ‘한건’을 그대로, 인용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한 건’으로 띄어쓰기에 맞게 썼습니다.

 

 

 

 

Reported by

뉴스타파

손병걸/정치부기자

김홍이/대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