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민주당 김용민 의원 , 배달오토바이 친환경오토바이로 전환법 대표발의 주목된다

- 오토바이로 인한 소음 , 매연 줄어들것으로 기대돼 주목되고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 오른쪽 포토>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 ( 남양주시병 ) 은 소음 , 매연 등으로 국민 불편을 야기했던 배달 오토바이를 전기 오토바이 등 친환경 오토바이로 전환할 때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

최근 비대면 배달업이 급증하며 오토바이 등 배달서비스 차량 이용량 역시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기존 내연기관을 이용한 오토바이의 경우 소음과 매연 등을 다량 배출해 많은 국민이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

이에 김용민 의원은 배달서비스 오토바이를 친환경 차량으로 교체할 때 국가와 지자체가 이를 행정적 ,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게끔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일부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

이 법이 통과될 경우 매연과 소음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배달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교통부문 온실가스 감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김용민 의원은 “ 기존 내연기관 오토바이 등이 배달에 사용되며 수많은 국민이 불편을 겪고 이에 대해 많은 불만을 토로했다 ” 며 “ 이번 개정안을 통해 소음과 매연으로부터 고통받는 국민이 줄고 안전한 배달환경 조성에 시발점이 됐으면 좋겠다 ” 고 밝혔다 .

 

 

 

 

 

 

Reported by

김홍이/대표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김경호 변호사, “조희대가 쏘아 올린 특검 외 특별재판부 설치,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과제”... 민주당 법리검토 착수!
<민주당 의원들의 대법원 앞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은 사퇴하라 시위 포토> 김홍이 기자=5월 8일 김경호 변호사, “조희대가 쏘아 올린 특검 외 특별재판부 설치,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과제”... 민주당은 법리검토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 Ⅰ. 서론 윤석열 전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에서 파면되었을 뿐만 아니라, 반란수괴·직권남용·일반이적죄 등의 중대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러나 사법부는 지귀연 판사의 위법한 구속취소결정과 특혜재판 논란과 대법원장의 정치적 편향 의혹으로 신뢰를 잃었으며, 검찰 역시 반란이 아닌 내란 기소와 직권남용 불기소 결정과 ‘즉시항고’ 사기극 등으로 국민에게 등을 돌렸다. 이런 상황에서 공정하고 투명한 수사를 위해서는 특검뿐 아니라 특별재판부 설치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Ⅱ. 사법·검찰 불신의 배경 반헌법적 비상계엄 시도, 군을 동원한 국회 무력화 기도 등 윤석열의 혐의는 민주공화국 질서를 뒤흔드는 대역 중죄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대법원은 오로지 ‘이재명 죽이기’로 “상고심으로서의 법률심 한계를 벗어났다”는 지적을 받았고, 지귀연 판사는 탄핵사유 논란까지 일으켰다. 검찰도 직권남용죄를 일부러 불기소 처리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제 21대 대통령 선거, 29일과 30일 사전투표를 앞두고, 티메프사태 피해 중소상공인 220인 지지선언, 전국 등 영호남 청년 대학생들 이재명 후보 지지선언
김홍이 기자= 5월 28일 국회에서 티메프사태 피해 중소상공인 220인 지지선언, 영호남 청년 대학생 지지선언 등이 있었으며, 전국 곳곳에서 이재명 후보의 지지 선언이 잇따라지고있어 주목되고있다. 따라서 민주당 관계자는 전국 곳곳에서 지지선언과 함께 전해주신 소중한 목소리, 잊지 않고 끝까지 책임지고 챙기겠다고말했다. 이어서 오늘 오전, 티몬·위메프 대규모 미정산 사태로 피해자들로 구성된 '검은우산 비상대책위원회' 소속 중소상공인 등 220명이 이재명 후보에 대한 지지를 공식 선언했습니다. 윤석열 정부가 외면한 티메프 사태 해결을 위해,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후보가 적절하게 잘대처해 줄 것으로 믿고있다며, 충분한 피해구제와 재발방지대책 마련 등으로 이재명 후보와 함께한다고 말하고, 반드시 이루어달라고 호소했다. 이어서 영호남 청년 대학생 지지선언 및 중앙선대위 청년본부 전달식및 청년본부-K컬쳐 청년인플루언서 정책제안 간담회 등 다양한 지지선언이 있었습니다 또한 K컬쳐를 이끄는 청년 인플러언서들과 정책제안 간담회와 인플러언서, 라이브커머스 대표, 창업 액셀러레이터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들이 함께 하며 청년창업자 교육 제도화, K컬쳐 해외진출을 위한 K플랫폼 제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