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전남도, 김영록 전남도지사ㆍ홍보담당관은 18일 전남관광진흥기금 지원 강화한다고 밝혔다!

-융자금 1년간 상환유예․이자 0.5%P 감면․융자 한도 30억 확대-

<김영록 전남도지사 포토 포즈>

 

전라남도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운 관광업계의 경영안정을 위해 관광진흥기금 지원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관광산업 침체로 경제적 피해를 입은 관광업계의 조기 회복을 돕기 위해 융자금 상환을 1년 유예하고 대출금리는 0.5%P 감면한다. 융자한도는 최대 30억 원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상환유예 대상은 2022년 상환일이 도래하는 모든 융자업체다. 1년간 총 26억 원의 융자금 상환을 유예한다. 올해는 기존에 상환유예를 받은 경우도 포함해 더 많은 업체가 혜택을 받도록 했다.

대출금리는 0.5%P 감면해 이자부담률을 기존 1%에서 0.5%로 낮춘다. 감면 대상은 기금을 지원받은 관광업체와 올해 새롭게 선정되는 업체 모두가 해당한다. 감면 기간은 올해 1월부터 12월까지 1년이다. 감면 금리(0.5%)는 금융당국과 협의절차 등을 거쳐 2분기부터 적용한다. 1분기에 이미 납부한 이자는 정산해 환급할 계획이다. 총 2억 원의 이자 부담을 경감해 업체별로 평균 200만 원(연간)의 혜택을 받게 된다.

신규 융자지원은 총 100억 원이다. 상반기에 70억 원을 집중 배정한다. 융자한도는 관광숙박업 등의 신축, 개보수를 지원하는 시설자금은 15억 원에서 최대 30억 원으로, 운영자금은 3억 원에서 최대 5억 원으로 대폭 상향한다.

상환유예와 이자감면에 대한 구체적 일정과 방법은 시군 관광부서와 융자취급은행에서 해당 업체에 1월 중 개별 안내한다. 신규 융자지원은 전남도 누리집(jeonnam.go.kr)에 공고할 예정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어려운 관광업계에 실질적 도움을 주기 위해 기금 지원을 대폭 강화했다”며 “관광업계의 경영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ported by

김홍이/전청와대출입기자

김학민/국회출입사진기자

강동희/문화관광환경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4월 9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 강단에서 취임식
<마은혁 헌법재판관 4월 9일 취임식 포토> 김홍이 기자=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취임식이 4월 9일 오전 10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취임식 현장 소식 전해드립니다!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취임식이 4월 9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 대강당에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이로서 174일 만에 헌법재판소 9인 재판관 시대가 열렸습니다. ​마은혁 재판관은 이날 취임사를 통해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 제시된 헌법적 원리와 가치가 입법, 행정, 사법 등 모든 국가 활동의 기준으로 작동하게 되었고, 정치적 다툼이 그 궤도를 따라 진행하게 되었으며, 사회통합의 견인차가 되었다"며 "임기 동안 우리 국민이 피와 땀을 흘려 함께 지켜온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원리와 질서가 흔들리지 않도록 혼신의 힘을 다해 불철주야로 노력하여 저의 작은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마 재판관은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애정, 배려를 바탕으로 하여 다수의 견해를 존중하되 맹종하지 않고, 소수자와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에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이재명 후보, 전주국제영화제의 현장 우리 문화예술계 대표 등 창작자와 함께 대담
김홍이 기자= 이재명 대통령 후보 5월 7일 전주국제영화제 뜨거운 현장에서 우리 문화예술계를 대표하는 창작자 분들과 함께 대화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어서 이재명 후보는 '더 글로리'의 김은숙 작가, '나의 아저씨'의 박해영 작가, '국제시장'의 윤제균 감독, '다음소희'의 정주리 감독 모두 우리 국민은 물론 전 세계인을 울리고 웃게 만든 주역들이라고 말하고, 한국의 이야기가 세계의 스크린을 가득 채우고 있으며, 김구 선생이 꿈꾸셨던 문화강국, 그 꿈이 현실이 되는 순간을 함께하고 있다는 사실에 큰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K-콘텐츠의 성공 뒤에는 치열하게 고민하고 창작하는 문화예술인들의 노력이 있으며, 이제는 이들이 정당한 보상과 권리를 누릴 수 있는 공정한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말하자 모두 일어나 기립박수를 쳤습니다. 또한 "큰 정치가 놓치는 작은 삶의 정치를 말하고 싶었다"는 말씀 기억하며, 우리 문화예술인들이 '작은 삶'의 이야기를 마음껏 써내려갈 수 있는 나라 만들기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표기자 김주섭/선임기자/문화평론가겸 감독 김학민/선임기자/문화예술환경평론가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