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한국공항공사, 인도에 ‘메이드인코리아’ 손창완 사장(한국공항공사), 대한민국의 전술항법장비(TACAN) 수출 쾌거 밝혀!

-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 인정받은 국산 항행안전장비 90식, 총 210억 원 수출계약  
- 해외 경쟁사 제품보다 품질·가격경쟁력 우위…2024년까지 인도 37개 공군기지 설치 

 

손창완 한국공항공사 사장, 6일(인도현지시각) 공사가 연구·개발한 전술항법장비(TACAN: Tactical Air Navigation)와 거리측정장비(DME: Distance Measuring Equipment)를 인도 공군·해군 비행장에 최종납품·설치하는 ‘메이드인코리아’ 국산  항행안전장비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공사는 인도 국방부가 발주한 인도 군 비행장 현대화사업에서 공사가 개발한 국산 항행안전장비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아 장비사업자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2024년까지 공사의 전술항법장치(TACAN) 33식과 거리측정장비(DME) 57식 등 총 90식의 항행안전장비를 인도 37개 군 기지에 설치하기로 했다. 

공사는 이번 수출계약 체결을 위해 2019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수십 차례의 협상과 기술 미팅, 현장 검증 등을 거쳤으며, 우리 방위사업청(유럽아시아협력담당관)과 KOTRA(인도 뉴델리 무역관) 등 정부기관의 지원과 협력으로 인도 국방부의 최종 승인을 이끌어냈다.

전술항법장비(TACAN)는 항공기 운항 관제의 핵심시설로 항공기에 방위각과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하늘길의 등대 역할을 한다. 전량 외국산 장비에 의존하던 TACAN 시장에서 공사는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2016년 미국 MOOG社, 프랑스 Thales社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TACAN 시스템의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품질과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인정받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우리 공군·해군의 14개 군 기지, 국내 9개 항공무선표지소 등에 장비 설치를 완료하거나 진행하고 있다.  

손창완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해외수입에 의존하던 항행안전시설의 국산화를 넘어 장비의 기술·기능적 우수성을 인정받아 군사 강국인 인도에 수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해외 진출을 확대해 대한민국의 항공기술과 공사의 항행장비 명성을 널리 떨치겠다”라고 밝혔다. 

 

 

 

Reported by

김홍이/전청와대출입기자

강동희/문화기후환경기자

김학민/국회출입사진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