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컬럼

(인터뷰뉴스TV=한계레) 성한용 선임기자.. '검찰에 주어진 권한 남용 위험.. 검찰, 국민에 대한 봉사자' 정치적 중립 우선 '일침'

 한계레 성한용 선임기자의 '검찰에 대한 일침'

“’정권 타고 넘기 신공’ 검찰개혁 못 피한다″

박정희 전두환 독재 시절 검찰은 힘 없는 기관이었습니다.
안기부 기무사 국세청 경찰보다도 약했습니다.
1987년 민주화 이후 다른 기관의 힘이 빠지면서 검찰이 막강한 권력기관으로 떠올랐습니다.
공안, 마약, 조폭은 물론이고 서민경제 침해사범을 잡는다며 물가단속까지 했습니다.
식품안전을 명분으로 라면회사 사장들을 무더기 구속시킨 적도 있습니다.
‘검찰 공화국’이라는 말까지 나왔습니다.

 

(서울중앙지검 청사)

그게 벌써 30년 전 일입니다.
그런데도 검찰은 지금까지 막강한 권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비법이 뭘까요?
검찰 수뇌부가 정권 초기에는 전직 대통령과 측근들의 비리를 수사하고,
정권 후반기에는 현직 대통령과 주변 비리를 수사하는 ‘정권 타고 넘기 신공’ 으로 개혁의 칼날을 피해온 것입니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국회 청문회를 앞두고 검찰 수뇌부가 갑자기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강제수사에 돌입한 것은 “이제부터 현 정권을 수사하겠다. 우리 검찰을 건드리지 말라”는 신호탄이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 우리 눈앞에 벌어지는 사태의 본질이
문재인 정권 비리와 수사 방해일까요,
아니면 개혁과 권한 축소를 거부하는 검찰 수뇌부의 저항일까요?


시간이 지나면 좀 더 명확해질 것입니다.
분명한 것은 이제 검찰 개혁은 더 이상 회피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는 사실입니다.
검사는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며 주어진 권한을 남용하여서는 안 된다고 검찰청법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다수 검사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일선에서 묵묵히 자기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검찰 수뇌부의 역사적 안목과 지혜를 기대합니다. 

따라서 검찰은 국민의 봉사자 로서 검찰 권한남용은 해서는 안되며, 검찰은 정치적 중립이 꼭 필요하다 고 말했다.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김홍 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4월 9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 강단에서 취임식
<마은혁 헌법재판관 4월 9일 취임식 포토> 김홍이 기자=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취임식이 4월 9일 오전 10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취임식 현장 소식 전해드립니다!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취임식이 4월 9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 대강당에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이로서 174일 만에 헌법재판소 9인 재판관 시대가 열렸습니다. ​마은혁 재판관은 이날 취임사를 통해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 제시된 헌법적 원리와 가치가 입법, 행정, 사법 등 모든 국가 활동의 기준으로 작동하게 되었고, 정치적 다툼이 그 궤도를 따라 진행하게 되었으며, 사회통합의 견인차가 되었다"며 "임기 동안 우리 국민이 피와 땀을 흘려 함께 지켜온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원리와 질서가 흔들리지 않도록 혼신의 힘을 다해 불철주야로 노력하여 저의 작은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마 재판관은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애정, 배려를 바탕으로 하여 다수의 견해를 존중하되 맹종하지 않고, 소수자와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에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