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컬럼

(인터뷰뉴스TV=한계레) 성한용 선임기자.. '검찰에 주어진 권한 남용 위험.. 검찰, 국민에 대한 봉사자' 정치적 중립 우선 '일침'

 한계레 성한용 선임기자의 '검찰에 대한 일침'

“’정권 타고 넘기 신공’ 검찰개혁 못 피한다″

박정희 전두환 독재 시절 검찰은 힘 없는 기관이었습니다.
안기부 기무사 국세청 경찰보다도 약했습니다.
1987년 민주화 이후 다른 기관의 힘이 빠지면서 검찰이 막강한 권력기관으로 떠올랐습니다.
공안, 마약, 조폭은 물론이고 서민경제 침해사범을 잡는다며 물가단속까지 했습니다.
식품안전을 명분으로 라면회사 사장들을 무더기 구속시킨 적도 있습니다.
‘검찰 공화국’이라는 말까지 나왔습니다.

 

(서울중앙지검 청사)

그게 벌써 30년 전 일입니다.
그런데도 검찰은 지금까지 막강한 권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비법이 뭘까요?
검찰 수뇌부가 정권 초기에는 전직 대통령과 측근들의 비리를 수사하고,
정권 후반기에는 현직 대통령과 주변 비리를 수사하는 ‘정권 타고 넘기 신공’ 으로 개혁의 칼날을 피해온 것입니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국회 청문회를 앞두고 검찰 수뇌부가 갑자기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강제수사에 돌입한 것은 “이제부터 현 정권을 수사하겠다. 우리 검찰을 건드리지 말라”는 신호탄이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 우리 눈앞에 벌어지는 사태의 본질이
문재인 정권 비리와 수사 방해일까요,
아니면 개혁과 권한 축소를 거부하는 검찰 수뇌부의 저항일까요?


시간이 지나면 좀 더 명확해질 것입니다.
분명한 것은 이제 검찰 개혁은 더 이상 회피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는 사실입니다.
검사는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며 주어진 권한을 남용하여서는 안 된다고 검찰청법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다수 검사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일선에서 묵묵히 자기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검찰 수뇌부의 역사적 안목과 지혜를 기대합니다. 

따라서 검찰은 국민의 봉사자 로서 검찰 권한남용은 해서는 안되며, 검찰은 정치적 중립이 꼭 필요하다 고 말했다.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김홍 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의 중심이 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가 리움미술관에서 최초 공개 되었다. 연령 상관없이 세계적으로 열광 중인 '케이팝데몬헌터스'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전통 회화 장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피카소 호랑이’는 19세기에 제작된 호작도 중 하나로, 단순하고 추상적인 선, 노란 호피 문양, 해학적인 표정 등이 특징이에. 이 표현이 피카소의 화풍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피카소호랑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또,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시각적 원천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한국 디자인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울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는 총 7점의 주요 작품이 공개된다 까치호랑이 虎鵲’展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기획전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민화의 대표 주제인 ‘호작도(虎鵲圖)’를 집중 조명한다. 여기에 더해 1874년 신재현이 그린 호작도, 그리고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등도 함께 전시돼, 다양한 시대와 화풍 속에서 호랑이와 까치가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오는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