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창원시, COVID-19 발생 현황 어제 13시 이후 74명의 신규 확진자가 추가 발생... 허성무 창원시장ㆍ보건소 관계자, 8월 10일 13시 기준 누적 확진자는 2,029명 밝혔다

허성무 창원시장, 남창원농협과 같은 집단감염 재발방지를 위하여 
대규모점포 등에 대한 특별방역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창원시 코로나19 발생 현황-

<허성무 창원시장 COVID-19 방역 예방접종 그리고 찾아가는 행정서비스 등 구슬땀>

.
우리 시는 어제 13시 이후 74명의 신규 확진자가 추가 발생하여
8월 10일 13시 기준 누적 확진자는 2,029명이며,     ※ 창원1959~2032번
완치 1,339명, 치료 중 687명, 사망 3명입니다. 

1959번(경남8180번)부터 1965번(경남8186번), 1968번(경남8189번), 1974번(경남8195번)부터 1976번(경남8197번), 1980번(경남8223번)부터 1984번(경남8227번), 1988번(경남8231번), 1989번(경남8232번), 2003번(경남8270번)부터 2005번(경남8272번), 2008번(경남8275번), 2012번(경남8297번), 2015번(경남8300번), 2022번(경남8320번), 
2030번(경남8337번) 26명의 확진자는 감염경로 불명의 확진자로, 
증상발현으로 자발적으로 검사를 진행하여 
양성판정을 받았습니다.

1966번(경남8187번), 1967번(경남8188번), 1969번(경남8190번), 1971번(경남8192번), 1972번(경남8193번), 1979번(경남8222번), 1985번(경남8228번), 1990번(경남8238번), 1991번(경남8239번), 1993번(경남8252번)부터 1997번(경남8264번), 1998번(경남8265번), 2000번(경남8267번)부터 2002번(경남8269번), 2006번(경남8273번), 2009번(경남8287번)부터 2011번(경남8296번), 2013번(경남8298번), 2014번(경남8299번), 2016번(경남8311번), 
2017번(경남8312번), 2020번(경남8318번), 2021번(경남8319번), 2023번(경남8321번)부터 2029번(경남8336번), 2032번(경남8339번) 
36명의 확진자는 우리 시 확진자의 접촉자이며,
이 중에 1967번, 1969번, 1971번, 1972번, 1990번, 1991번, 
1995번, 2000번, 2001번, 2009번부터 2011번, 2014번, 2020번, 2024번부터 2028번 확진자는 동거하는 가족 등과 접촉으로,

1979번, 1996번, 1997번, 1998번, 2002번, 2006번, 
2016번, 2017번, 2023번, 2029번, 2032번 확진자는 
지인, 친구 또는 직장동료와 접촉으로 양성판정을 받았으며,

1993번, 1994번, 2000번, 2009번, 2010번, 2013번, 
2020번, 2021번, 2027번, 2028번, 2029번 확진자는 
격리 중에 검사를 진행하여 양성판정을 받았습니다.

1970번(경남8191번), 1973번(경남8194번), 1992번(경남8251번), 1999번(경남8266번), 2031번(경남8338번) 5명의 확진자는 
타 지역 확진자의 접촉자이며,
 
이 중에 1970번, 1973번, 1992번 확진자는 
격리 중에 인후통 등의 증상으로 검사를 진행하여 
양성판정을 받았습니다. 

1977번(경남8198번), 1978번(경남8199번), 1986번(경남8229번), 1987번(경남8230번), 2007번(경남8274번), 2018번(경남8316번), 2019번(경남8317번) 
7명의 확진자는 남창원농협 관련 확진자로, 

이 중에 1977번, 1978번, 1987번, 2018번, 2019번 확진자는 
동거가족과 접촉으로,
1986번, 2007번 확진자는 해당 시설 방문자로서 
검사를 진행하여 양성판정을 받았습니다.
□ 시민께 드리는 당부말씀
시민 여러분,
전국의 어제 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2,223명으로 
코로나 발병 이후 처음으로 2,000명을 넘어섰으며
경남지역에서도 141명의 하루 최다 확진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우리 시에서도 64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여,
일주일 만에 다시 하루 최다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 시에서는 남창원농협과 같은 집단감염 재발방지를 위하여 
대규모점포 등에 대한 특별방역점검을 실시합니다.

기간은 8월 9일부터 8월 16일까지이며, 
대형마트 22개소, 준대규모점포 41개소, 
종합소매업(300㎡ 이상) 92개소 등 155개소를 대상으로 하며,
 
시식․시음․견본품 사용금지, 집객행사 금지, 
22시 이후 영업시간 제한, 출입명부관리 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점검을 실시합니다.

그리고 8월 9일부터 한국유흥음식업협회 창원시 지부와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을 점검반으로 구성하여 
유흥시설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방역수칙 
준수 여부에 대하여 점검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4단계 방역수칙에 따라 유흥시설은 집합금지가 되며,
불법영업행위 적발 시에는 엄정하게 조치할 방침이오니,
위반사항이 없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라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전청와대출입기자

조설/국회출입기자

김학민/부울경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