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후즈굿, 드림스퀘어와 상호 협력 방안 논의

데이터분석 스타트업 ‘드림스퀘어’와 핀테크 스타트업 ‘후즈굿’의 도전 스토리
다른 듯 닮은 최초의 데이터기반 커리어 추천엔진 ‘휴리’와 로보애널리스트 ‘카이런’


(뉴스와이어) 색다른 두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남다른 도전에 나선다. 

14일 서로 관련이 없을 것 같은 두 스타트업인 데이터 분석 분야의 드림스퀘어(대표 한신환)와 핀테크 분야의 후즈굿(대표 윤덕찬)이 글로벌 진출을 위한 상호간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를 위해 만남을 가졌다. 서로 다른 분야에 있지만 사실 공통점이 많기에 두 기업의 만남은 신선하다. 

첫 째로 각각 독자 개발한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기존 시장에 없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었다. 두 번째로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시작했고, 첫 런칭을 내년 1월 미국에서 시작한다. 끝으로 지난 3월 미국 보스턴에서 서로 만나 보스턴대학교 쿠에스트롬 MBA에서 경영대 교수들로부터 비즈니스 모델을 글로벌 시장에 맞게 다듬는 기회를 가졌다. 

이 날 양사는 서로의 핵심 정보를 공유키로 하는 Knowledge Partnership을 체결했다. 후즈굿은 드림스퀘어가 사용자에게 직업과 회사를 추천할 때 그 회사의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수 천여 개에 달하는 후즈굿의 다양한 기업 분석정보를 제공하고, 후즈굿은 드림스퀘어가 보유한 3억명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추가정보 없이도 빅데이터 예측분석을 통해 관심있는 기업을 추천해 주고 또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작은 스타트업이 국내도 아닌 글로벌 시장에서 수많은 골리앗들과 경쟁하기는 쉽지 않다는 점을 공감하는 두 스타트업은 협력을 통한 독특하고 색다른 서비스를 통해 유저를 팬으로 확보하기 위한 남다른 도전을 시작한 것이다. 

두 회사는 내년 미국 시장을 시작으로 한국, 중국 및 유럽, 아시아로 시장을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도전이 앞으로 지속적인 시너지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드림스퀘어 한신환 대표는 “데이터 비즈니스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두 기업인 만큼 이번 협약은 사람 인처럼 각자의 분야에서 올곧이 설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후즈굿 윤덕찬 대표는 “빨리 가기 보다는 멀리 가기 위해 함께 가는 길을 선택했다.”며 “서로 다른 길이지만 이 남다른 도전이 외롭지 않도록 서로의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스톤에서부터 인연이 되어 두 회사의 성장을 지켜봐 온 KIC 워싱턴DC의 김종성 센터장은 “KIC 워싱턴에서 추진한 KIC Start MassChallenge를 통해 entrepreneurship 의 참된 본질에 대한 선진적인 인식에 동참한 Who's Good 과 Dream Square 두 회사가 뜻을 모아 공통된 이상을 추구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큰 감동을 느낀다”며 “정신적인 만남 이외에도 비즈니스 모델과 value proposition을 한 단계 격상하는 멋진 구상”이라고 두 회사의 협력에 높은 찬사를 보냈다. 

나아가 김 센터장은 “진정한 창업가 정신은 단순한 아이디어나 금전적인 보상보다는 Big Data 같은 첨단기술을 사용하여 사회의 어려운 난제들에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그를 통해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공헌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두 회사는 각각 실리콘밸리와 워싱턴에 미국 본사를 두고 활발히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드림스퀘어 소개 
드림스퀘어(www.idreamsquare.com)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소재한 데이터 분석 스타트업으로 전 세계에서 두 번째 규모로 많은 3억명 이상의 커리어 프로파일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빅데이터와 자체 분석 엔진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을 알맞은 커리어의 기회로 연결하는 ‘Talent Connect Platform’을 만들어 가고 있다. 

후즈굿 소개 
후즈굿(www.whosgood.org)은 ‘Good Company Makes Good Society.’라는 미션으로 출발한 소셜벤처. 다양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비재무 리스크를 분석한 정보를 투자자와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후즈굿 웹서비스를 개발했다. 특히 각국의 뉴스를 실시간 분석해 팩트 기반의 기업평판분석과 리스크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개발, 지난 10월에 세계은행의 기후변화 프로그램 Connect4climate, 12월에는 UN책임투자원칙(PRI)의 파트너로 선정됐다.
출처: 지속가능발전소

인터뷰컬럼

더보기
전우용 교수(사회학자)의 예측, 다음은 2024년 4월 13일에 "이재명 대통령과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에 대해 올렸던 글! 2025년 지금 현실로 나타나...
[이재명 대통령과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의 지난 정상회담 장면 포토] 전우용 교수(사회학자)의 예측, 다음은 2024년 4월13일에 올렸던 글입니다. 김홍이 기자= 전우용 교수의 2018년 브라질 노동자당의 유력한 대통령 후보로 지지율 1위를 달리던 룰라가 뇌물 수수 혐의로 투옥됩니다. 브라질 검찰은 “증거를 인멸해서 증거가 없다”는 황당한 주장을 폈지만, 법원은 그가 유죄라고 판결했습니다. 결국 대통령 선거에서 극우파 보우소나루가 당선됐습니다. 2021년 브라질 대법원은 룰라에게 무죄를 선고했고, 2022년 룰라는 다시 대통령에 당선됐으며, 2023년 브라질 대법원은 “룰라 체포는 브라질 사법사상 가장 중대한 실수 중의 하나”라며 룰라 재판 때 검찰이 제시했던 모든 증거를 무효로 했습니다. 룰라를 감옥에 보내는 ‘작전’을 주도한 자들은 모두 부패 혐의로 체포되거나 외국으로 도주했습니다. 하지만 브라질은 보우소나루 집권 4년간 망가질 대로 망가졌습니다. 2018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를 ‘법조-언론 카르텔에 의한 연성 쿠데타’라고 하는 이유입니다. 이번 총선에서 야권이 압도적 다수 의석을 차지했지만, 브라질의 예로 보면 아직 중대한 변수가 남아 있습니다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속보] 지귀연 내란재판부 기피신청해야... 오동운 공수처장, 27일 지귀연 판사의 윤석열 구속취소 “법왜곡” 해당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공수처) 포토] 오동운 공수처장이 지귀연 판사의 내란수괴범 윤석열 구속취소결정이 法 왜곡에 해당한다”고 직격했다. 오 공수처장은 27일 MBC라디오의 뉴스하이킥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이같이 말하면서 반드시 검사의 항고를 통해 다시 판단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공수처장은 지귀연 판사의 '법왜곡'을 다음과 같이 조목조목 지적했다. 1.구속기간 계산을 날짜가 아닌 시간 단위로 억지 해석하여 남은 시간을 무시했으며 2. 체포적부심 기록이 법원에 머문 10시간 32분을 구속기간에서 제외했으며, 3. 실제로는 47분이 남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속 만료를 이유로 취소했다는 것이다. 또한 단순한 법리 해석의 차이를 넘어 특정 피고인에게 유리하게 맞춰진 결정이라는 의혹을 낳고 있으며 내란 사건을 담당할 특별재판부의 공정성을 위해서라도 지귀연 재판부 기피 신청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MBC 라디오 뉴스하이킥 경청했던 국민들의 요구는 공수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지귀연 판사의 내란세력과 야합 의혹에 대해 철저히 수사해서 의혹이 나오면 法의 심판을 받도록 철퇴를 내리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Reported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의 중심이 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가 리움미술관에서 최초 공개 되었다. 연령 상관없이 세계적으로 열광 중인 '케이팝데몬헌터스'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전통 회화 장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피카소 호랑이’는 19세기에 제작된 호작도 중 하나로, 단순하고 추상적인 선, 노란 호피 문양, 해학적인 표정 등이 특징이에. 이 표현이 피카소의 화풍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피카소호랑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또,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시각적 원천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한국 디자인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울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는 총 7점의 주요 작품이 공개된다 까치호랑이 虎鵲’展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기획전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민화의 대표 주제인 ‘호작도(虎鵲圖)’를 집중 조명한다. 여기에 더해 1874년 신재현이 그린 호작도, 그리고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등도 함께 전시돼, 다양한 시대와 화풍 속에서 호랑이와 까치가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오는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