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이낙연 총리, 문 정부 일잘한 장관 4명,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 높은 점수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오늘 이낙연 총리가 각료중 일잘하는 장관을 뽑으라면 박영선 이현수 박양우 박능후 장관이라고한다.
이어 이낙연 '내각 군기반장 별명불구' 4명 장관 업무에 높은 점수를 줬다고 밝혔다.
특히나 이낙연 국무총리는 업무 처리가 워낙 세심하고 빈틈이 없어 총리를 보좌하는 장차관및 비서관과 보좌관 들이 모시기 힘든 분이라는 평가를 자주 접한다. 또한 문재인정부 초대 총리로 발탁돼 내각 정책을 총괄하며, 업무가 미진한 장관ㆍ차관들에게 불호령 내릴 때가 많아서'장차관들의 군기반장'이라는 별명 아닌 별명이 있을 정도다. 
이런 꼼꼼한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일 잘하는 장관들을 추천해 달라는 기자들의 주문에 이낙연 총리는 잠깐 고민하다 먼저 박영선(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그리고 김현수(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박양우(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박능후(보건복지부 장관) 등 4명의 장관을 소개했다.

 

 

따라서 국회 4선 정치인 출신 박영선 장관은 수많은 중소기업을 찾아가는 눈높에 맞는 현장정책을 말보다 실천을 우선시하며,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접하면 바로 바로 찾아가는 정력적으로 활동하는 장관으로서 서민형 중소기업을 해결하는 꼼꼼한 장관으로 높이 평가되었다.

이어 김현수 농림수산식품부장관에 대해서는 올해 8월 농림수산행정을 맡으며 조류인플루엔자 발빠른 대처 업무를 완벽하게 잘했냈다고했다.
따라서 이낙연 총리가 정치인 시절 지역구(전남도지사와 담양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가 농어촌인 데다 전 국회 농림수산위원장을 맡았던 이낙연 국무총리로부터 좋은 점수를 받은 셈이다.

이 총리는 이어 박양우, 박능후 장관에 대해서는 슬기롭게 정부정책에 대해 안정감을 준다는 평가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이낙연 국무총리는 때때로 각부처 장관들에게도 정책업무가 미진하면 바로 불호령으로 지적한 일이 적지 않았다 며 이렇게 꼼꼼한 이낙연 총리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장관 차관들은 그만큼 능력을 높이 평가와 인정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고 밝혔다.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김홍이 기자 

폴리뉴스  폴리TV  국제언론인크럽 방송

☆국제언론인크럽 기동취재기자단☆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의 중심이 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가 리움미술관에서 최초 공개 되었다. 연령 상관없이 세계적으로 열광 중인 '케이팝데몬헌터스'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전통 회화 장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피카소 호랑이’는 19세기에 제작된 호작도 중 하나로, 단순하고 추상적인 선, 노란 호피 문양, 해학적인 표정 등이 특징이에. 이 표현이 피카소의 화풍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피카소호랑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또,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시각적 원천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한국 디자인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울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는 총 7점의 주요 작품이 공개된다 까치호랑이 虎鵲’展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기획전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민화의 대표 주제인 ‘호작도(虎鵲圖)’를 집중 조명한다. 여기에 더해 1874년 신재현이 그린 호작도, 그리고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등도 함께 전시돼, 다양한 시대와 화풍 속에서 호랑이와 까치가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오는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