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배종호 시사평론가의 "국민의힘 의원들 특검수사 대상되나?" 잠못자는 국힘 의원들...

[이재명 대통령 6월 1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내란특검법 공포 포토]

 

김홍이 기자=배종호 시사평론의 내란특검 공포
6월 13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공포되면서
내란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내란 특검법에 따라
수사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의힘 의원들 가운데
수사대상 1호로
지목되고 있는 인물은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입니다.

 

12.3 비상계엄 당시
원내대표를 맡았던 추경호의원은
계엄 당일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다가 당사로 바꿔
혼선을 초래했습니다.

 

국회의장에게
본회의 표결 시간을
연기해달라고 요청까지 했습니다.

 

결국 대부분의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이
국회 비상계엄해제 의결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이러한 행동들이
국회의 비상계엄해제 의결을
방해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내란죄 처벌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게
법조계 대다수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이와 관련해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현재 경찰 수사까지 받고 있습니다.

 

JTBC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후,
계엄군이 국회에 들이닥치기 전,
추 전 원내대표와 나경원 의원에게
잇따라 전화를 걸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윤석열은 도대체 왜,
계엄이 선포된 직후
그 급박한 비상상황에서
추경호 전 원내대표,
나경원 전 의원에게 전화를 걸었을까요?

 

혹시 국회 계엄해제 의결을
막아달라는 부탁을 하지는 않았을까요?
만약 추경호 원내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전화부탁을 받고
의도적으로 국민의힘 의총장소를
당사로 바꿨다면
이는 명백한 내란행위에 해당됩니다.

 

내란 특검 결과가 주목되는 이유입니다.

 

특히 내란 관련자들에 대한
사법처벌은 물론이고
국민의힘에 대한 정당 해산 요구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현재 국회 국민동의청원 누리집에
정당해산 관련 청원은
35만5천명이 넘는 사람들의
동의를 얻은 상태입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국민의힘을 향해
연일 정당해산을 꾸준히 거론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권이 특검이 끝나면
정당해산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니
각자도생할 준비들이나 하거라”라고
엄포를 놓고 있습니다.

 

특검후보자가 선정 되는대로
다음달 초쯤
내란특검이 정식 가동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달 초 특검이 가동되면
얼마나 많은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이
특검 조사를 받아야 할까요?

 

대선참패에, 진흙탕 당권 싸움에, 특검에
많은 국민의힘 소속의원이
잠못 이루는 밤을 보내고 있을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기자

배종호/시사평론가

이상철/선임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