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세계언론=인터뷰뉴스TV> 문재인 대통령과 국민들의 코로나19 대응.. 전세계 언론 극찬.. 한국정부 봉쇄 조치없이 안정적 관리 찬사 / South Korea, Corona 19 Prevention ... World Media Compliment

<President Moon Jae-in of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Corona 19 Prevention ... World Media Compliment..!

 

The media around the world are praised by the world for their successful response to the new coronavirus infection (Corona19) in Korea with Pres. Moon Jae-in around the world. The Korean countermeasures, which are represented by large-scale inspections, thorough tracking, transparent information disclosure, & voluntary cooperation from citizens, have become established as international standards. In particular, it's enviable as an example of democratic power in that it manages Corona 19 stably without large-scale containment measures.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

 

Even if you don't mention the prospects of experts, Corona19 is likely to significantly change the existing world order. There is also a cautious prospect that this change could be another opportunity for us, which are well-received by successful responses. There is little expectation that the global acclaim for Corona 19 has greatly improved our nat'l image.

 

<한국 정세균 국무총리 방역 대책회의를 주재하고있다><South Korea, Prime Minister Jung Se-gyun is holding a meeting to prevent corona 19.>

 

-해설-

<한국 시민들 주말 공원에서 마스크 착용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동참 휴식을 취하고있다><South Korea, people are participating in the streets of Corona's 19th response>

 

전세계가 문재인 대통령 과 함께하는 한국 국민들의 성공적인 신종(코로나19) 대응을 두고 세계 언론이 연일 찬사를 보내고 있다. 과학적인 검사와 철저한 역추적, 투명한 정보 정부의 매일 브리핑 공개와 시민들의 자발적 협조로 한국식 대응법은 국제 표준으로 우뚝서기 시작했다. 이어 특히 대규모 정부의 국민에게 강압 봉쇄 조치 없이 (코로나19)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점에선 민주주의의 힘을 보여준 세계적 예로 부러움을 사고 있습니다.

 

<한국 동해안 한 해변 밤의 전경입니다><This is a view of a beach on the east coast of Korea.>

 

정부의료기관과 의료전문가들의 전망을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코로나19)는 기존 각국 세계질서를 크게 바꿔놓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은 성공적인 대응으로 좋은 평가를 얻고 있는 우리에게는 이러한 변화가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조심스런 미래전망이 나온다고 볼수있다. 이어 (코로나19)에 대한 세계적 관심과 호평이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크게 향상시켰을 것이라는 기대를 해도 괜찮다는 의견이다.

 

<한국 국민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동참하고있다><South Korea, people are participating in the streets of Corona's 19th response>

 

<서울메트로 지하철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동참하고있다><South Korea, people are participating in the streets of Corona's 19th response>

 

-Thanks for reading & watching-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권오춘 사진기자

김홍 외신전문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정청래, 13일 법원 사법개혁 반발에 "자업자득...특히 조희대ㆍ지귀연" 겨냥
[천대엽 법원행정처장(대법관)13일 전국법원장회의 포토] 김홍이/황일봉 기자=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2일 대법관 증원 등 사법개혁안에 대한 법원 내부의 집단 반발과 관련해 "사법개혁은 사법부가 시동 걸고 자초한 게 아닌가"라고 말했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추석 전 본회의 통과를 목표로 대법관 증원, 대법관 추천 방식 개선, 법관 평가 제도 개선, 하급심 판결문 공개 범위 확대, 압수수색 영장 사전심문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한 사법개혁안을 추진 중이다. 정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전국 법원장들이 전날 사법부 독립 보장을 거론하며 여당의 사법개혁안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사법 개혁 논의에 사법부도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정청래 대표는 “다 자업자득이다. 특히 조희대 대법원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재판 독립을 보장해야 하고 내란재판부 위헌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조희대 대법원장의 발언을 공유한 뒤 “대선 때 대선후보도 바꿀 수 있다는 오만이 재판독립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조희대 대법원장이 6·3 대선을 앞둔 5월 전원합의체를 통해 당시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이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한 사건을 지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