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경기도=인터뷰뉴스TV> 이재명 경기도지사, 한국 OECD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넘는 경제 국가... 최소한 '사회적 안전망' 갖추지 못한다면 '공허'할 뿐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장중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배가 고파서, 돈이 없어서' 극단적 선택하는 일 없도록 하겠다며, 긴급한 먹거리, 생활비를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경기도 도지사>

이어 최근 ‘방배동 모자의 비극’으로 알려진 사건은 모두의 가슴을 아프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복지사각지대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며, 실질적 보호 대상이 누락되지 않도록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와 같은 정책 실효화도 마땅히 필요하지만,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복지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는 현재의 특수성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유례없는 코로나 직격탄으로 경기침체와 양극화가 심화된 가운데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이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어떤 경우에도 범죄는 정당화 될 수 없지만 먹을 것이 없어 발생하는 생계형 범죄만큼은 국가에도 책임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뉴시스 사진>

 

이를 막아보고자 도민 여러분들께 직접 의견을 구하고 담당 부서와 궁구한 끝에 ‘먹거리 공간조성’과 ‘생계지원’ 두 가지 사업을 추진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먹거리 그냥드림 코너’는 이번 달 3개 시 푸드마켓을 시작으로 1월부터는 모든 시·군의 복지시설에 들어서고, 이어 긴급하게 먹거리와 생필품이 필요한 분들이 이용할 수 있으며 추가 복지서비스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도움을 드린다고 말하고, 노숙인을 위한 ‘먹거리 그냥드림 냉장고’ 시범 운영과 경로식당을 활용한 무료 급식으로 보다 촘촘하게 먹거리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이와 더불어, 생계가 곤란한 가정에 지원금을 드리고 회생이 어려운 저신용자 분들께는 소액대출도 해드립니다. 따라서 공과금이나 월세가 밀렸다고 절망에 빠져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일이 다시는 없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가 넘는 경제 주요국가로서의 지위도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망을 갖추지 못한다면 공허할 뿐만아니라 경기도는 취약한 구성원을 돌보고 보살펴야 하는 공동체 기본원리를 항상 명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기자/PD

권오춘 사진기자

김학민 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의 중심이 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가 리움미술관에서 최초 공개 되었다. 연령 상관없이 세계적으로 열광 중인 '케이팝데몬헌터스'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전통 회화 장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피카소 호랑이’는 19세기에 제작된 호작도 중 하나로, 단순하고 추상적인 선, 노란 호피 문양, 해학적인 표정 등이 특징이에. 이 표현이 피카소의 화풍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피카소호랑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또,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시각적 원천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한국 디자인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울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는 총 7점의 주요 작품이 공개된다 까치호랑이 虎鵲’展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기획전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민화의 대표 주제인 ‘호작도(虎鵲圖)’를 집중 조명한다. 여기에 더해 1874년 신재현이 그린 호작도, 그리고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등도 함께 전시돼, 다양한 시대와 화풍 속에서 호랑이와 까치가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오는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