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창원시=인터뷰뉴스TV> 허성무 창원시장, 미얀마 향해 “꽃샘추위는 봄을 이기지 못해” / Republic of Korea, Changwon Mayor Hur Seong-moo, to Myanmar's military, Flower spring cold can't overcome spring

창원시 허성무 시장, 3‧15의거 61주년 앞두고 민주주의 갈망하는 미얀마 국민을 위로했다. 
Republic of Korea, Changwon Mayor Hur Seong-moo, to Myanmar's military, Flower spring cold can't overcome spring therefore Consoling the people of Myanmar who long for democracy ahead of the 61st anniversary of March 15

허성무 창원시장, 미얀마 군부를 향해 “꽃샘추위는 봄을 이기지 못해”

3‧15의거 61주년 앞두고 민주주의 갈망하는 미얀마 국민 위로 

<허성무 창원시장>

허성무 창원시장은 10일 미얀마 국민들을 향해 위로의 메시지를 전했다. 미얀마는 현재 지난 2월 1일 군부가 기습 쿠데타를 벌이고 아웅산 수지 국가고문 등 정부 고위 인사들이 구금된 후 혼란을 겪고 있다. 

허 시장은 “3‧15의거 61주년을 며칠 앞두고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되새겨야 할 시기에 하루가 멀다 하고 유혈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미얀마 소식에 가슴이 아프다”며 “우리도 과거 독재정권에 맞서 싸워보았기에 미얀마 국민들의 고통을 외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 민주화 역사의 심장인 창원시의 시장으로서 미얀마 국민들을 지지하고 응원한다”고 덧붙였다. 허 시장은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를 꽃샘추위에 빗대 “꽃샘추위가 제 아무리 매섭다 한들 이미 다가온 봄을 밀어내지는 못한다. 바람은 곳 멈출 것이고 태양은 온 대지에 생명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창원시의회는 9일 본회의를 열고 김종대 의원의 발의로 ‘미얀마 군부 쿠데타 규탄 및 민주화 원상회복 촉구 결의문’을 채택했다. 

 

다음은 허 시장의 메시지 전문이다. 

 

며칠 후면 3‧15의거 61주년입니다. 
우리가 누리는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되새겨야 할 시기에 
하루가 멀다 하고 유혈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미얀마 소식을 들으니, 가슴이 매우 아픕니다. 

우리도 독재정권에 맞서 싸워보았기에 
그 공포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이 땅의 민주주의가 피로 얼룩진 희생의 대가였음을 알기에 
미얀마 국민들의 고통을 외면할 수 없습니다. 

저는 대한민국 민주화 역사의 심장인 창원시의 시장으로서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미얀마 국민들을 
온 마음으로 지지하고, 응원합니다. 

꽃샘추위가 제 아무리 매섭다 한들 
이미 다가온 봄을 밀어내지는 못합니다. 
바람은 곧 멈출 것이고 
태양은 온 대지에 생명을 불어넣을 것입니다. 

미얀마 군부는, 국민의 지지가 없는 정부는 
존립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겸허히 국민의 선택을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그리하여 머지않은 시일 내에 
미얀마에도 평화와 자유, 민주주의가 깃들길 바랍니다. 

봄은 오고 있습니다. 

 

2021년 3월 10일 
창원시장 허성무

 

 

-This English News article is for foreigners, Thank you for reading and waching-

 

This is a message sent to the people of Myanmar from Republic of Korea, Mayor Hur Seong-moo, Changwon.  We send a message of support to the people of Myanmar, asking for comfort and strength.

 

Republic of Korea, Changwon Mayor Hur Seong-moo delivered a message of consolation to the people of Myanmar on the 10th. Myanmar is currently experiencing confusion on February 1, after the military conducted a surprise coup &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state advisor Aung San Suu Kyi, were detained.

<Mayor Hur Seong-moo, Changwon-City, Gyeongsangnam-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Mayor Hur said, A few days ahead of the 61st anniversary of the March 15th, a day is far away, and the news of Myanmar is a bloodshed. He said, We cannot ignore the suffering of the people.

He added, We support & support the people of Myanmar as the mayor of Changwon City, the heart of the history of democratization in Republic of Korea. Mayor Hur compared the coup of the Myanmar military to the flower spring cold, No matter how hot the flower spring is, it cannot push away the spring that has already come. The wind will stop & the sun will bring life to the whole earth.

Meanwhile, the Changwon City Council held a plenary meeting on the 9th & adopted the Resolution to Condemn the Military Coup in Myanmar & Call for the Restoration of Democratization at the initiative of Rep. Jong-Dae Kim.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Mayor Hur's message.

It will be the 61st anniversary of March 15th in a few days.
When we need to remember the preciousness of our democracy
The day is far & the bloodshed is going on
Hearing the news of Myanmar, my heart hurts very much.

Because we also fought against the dictatorship
We know that fear better than anyone else. Knowing that the democracy of this land was the price of blood-stained sacrifice
The suffering of the people of Myanmar cannot be ignored.

As the mayor of Changwon Myanmar people who yearn for democracy
We support & support with all our heart.

No matter how hot my flower spring is
It cannot push away the spring that has already come.
The wind will soon stop
The sun will bring life to the whole earth.

Myanmar's military, the government without the support of the people,
Knowing that it is impossible to exist
You will have to humbly accept the people's choices.

So in the near future
May peace, freedom, and democracy in Myanmar.

Spring is coming.

 

March 10, 2021
Changwon Mayor Hur Seong-moo of the Republic of Korea

 

 

 

Reported by

Alexander U. :  Freelancer Journalist

Hong-e Kim : Journalist/PD

Seol Cho : Journalist

Hak-min Kim : Journalist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10일 대한민국 재도약의 마중물, "국민성장펀드" 출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과 10일 대통령실에서 관계자들이 국민성장펀드 운용 방안을 논의하고있다 청와대 포토] 김홍이/황일봉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10일 ‘국민성장펀드’의 운용 방안을 논의하고 보고하는 뜻깊은 자리에 함께했다. 막대한 투자 규모만큼이나 간절한 기대와 각오가 한 데 모인 자리였습니다. 첨단전략산업을 둘러싼 ‘총성 없는 전쟁’의 시대입니다. 과감한 투자와 도전으로 미래 산업을 키우고 벤처 생태계를 꽃피우는 일에 대한민국의 운명이 달려 있습니다. 선진국으로 도약할 것인지, 이대로 퇴보할 것인지 결정될 중대한 갈림길이라고밝혔습니다. 이어 李 대통령은 ‘국민성장펀드’가 우리 산업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고, 국민·정부·경제계가 힘을 모아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어갈 든든한 초석이 되리라 확신한다며, 산업과 금융, 벤처 등 관련된 모든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국민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을 부탁드린다고말했습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성장의 기회와 과실을 모두가 고루 나누는 일이고, 혁신의 결실이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국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rd by 김홍이/대표기자 황일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