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민주당 김승원 의원 등, 5월 10일 경청선거 결의' 진짜 민심, 현장에서 찾겠다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의원 (수원 갑) 포토>

 

김홍이 기자= 5월 10일 민주당 김승원 의원 등 경청선거 결의' 진짜 민심, 현장에서 찾겠다고 결의했다.

진짜대한민국 진짜경기도 선대위 처음이자 마지막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이제부터 진짜 시작입니다. 오늘 이재명 후보님께서 후보 등록을 마쳤다고 말하고, 이틀 뒤면 공식선거운동 시작과 함께 22일 간의 대장정이 시작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김승원 의원은 국민의힘이 간밤에 자당이 뽑은 후보를 갈아치웠다, 군사쿠데타, 사법쿠데타에 이은 정치쿠데타 라고 비난했다.
국민의힘은 더이상 상식적인 민주정당이 결코 아닙니다.
보수정당사 최대의 비극입니다. 스스로가 자폭 버튼을 누른 것입니다.

국민의힘이 당권놀음 대권놀음에 빠져 국민을 외면하는 동안
민주당은 국민의 곁에 더 가까이 다가가겠다고 말했다

 

 

--아래와 같이 김승원 의원 등의 성명서이다-----

 

진짜 민심, 현장에서 찾겠습니다.
국민께서는 거리에서, 광장에서, 생업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을 지켜주셨습니다.
군사쿠데타에 이은 조희대의 사법쿠데타를 막아낸 주인공도 바로 국민입니다.

이제 민주당이 국민께 다가갈 차례입니다.
오늘 이 자리를 마지막으로 현장 속으로 나아가겠습니다.
제대로 듣고 제대로 적어 경청노트를 빼곡히 채우겠습니다.
험지와 오지, 구석진 골목, 소외된 마을까지 국민 속으로, 골목 안으로 들어가겠습니다.

경기도가 뛰면 진짜 대한민국이 시작됩니다.
경기도는 이재명 후보님의 정치인생이 담겨있는 곳입니다.
골목골목마다 이재명 후보님의 발자취가 담겨있는 경기도에서
진짜 대한민국의 시작을 열겠습니다.

150만표차 승리, 투표율 80% 득표율 60%를 목표로 달리겠습니다.
압도적인 승리로 경기도를 넘어 전국 승리를 견인하겠습니다.

위기의 시대, 국민의 삶 속에 답이 있습니다.
진짜 민심은 책상이 아니라 현장에 있습니다.
현장에서 시작해 현장에서 승리하겠습니다.
위대한 국민과 함께 진짜 대한민국, 진짜 경기도를 향해 나아가겠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표기자

김학민/선임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의 중심이 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가 리움미술관에서 최초 공개 되었다. 연령 상관없이 세계적으로 열광 중인 '케이팝데몬헌터스'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전통 회화 장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피카소 호랑이’는 19세기에 제작된 호작도 중 하나로, 단순하고 추상적인 선, 노란 호피 문양, 해학적인 표정 등이 특징이에. 이 표현이 피카소의 화풍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피카소호랑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또,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시각적 원천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한국 디자인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울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는 총 7점의 주요 작품이 공개된다 까치호랑이 虎鵲’展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기획전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민화의 대표 주제인 ‘호작도(虎鵲圖)’를 집중 조명한다. 여기에 더해 1874년 신재현이 그린 호작도, 그리고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등도 함께 전시돼, 다양한 시대와 화풍 속에서 호랑이와 까치가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오는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