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K뮤직스케치 김학민 희망일출300회 즉석자사곡노래 축하공연

K뮤직스케치 강희갑작가와 함께하는 희망일출로 희망을 노래하다

K 뮤직스케치 희망일출 공연


강희갑작가와 함께하는 희망일출(회장이태선) 300회가 2024년6월15일 아이스버킷챌리지의 감동과 함께 성료되었다


루게릭 요양병원 건립을 위한 국립공원희망일출 김학민뮤직스케치 공연은 초창기 강희갑작가와 함께 2년동안 전국의 국립공원 희망일출을 했다 체감온도 영하 30도를 넘나들때도 기타를메고 밤새올라 여명으로 시작되는 일출광경을 즉석에서 작사 작곡 연주노래를 할때 기타줄에 손가락이 쩍쩍 붙어 찢어질 정도의 아픔을 느꼈지만 루게릭요양병원 건립을 위한 홍보를 위해 압장선 강희갑사진작가와 서로 의지하면서 함께한 힘든 여정은 국립공원 정상에서 일출이 시작될 때 눈녹듯 사라졌고 야간산행으로 기타가 금이가고 깨어지면  수리하면서 다녔다 지금까지 그 기타는 내몸에서 떨어지지않을 만큼 애착을 가지고있다


강희갑작가와 함께하는 희망일출(회장이태선) 300회가 있기까지 희망일출에 참여한 회장이태선과 회원들의   노력과 관심이 없었다면 이뤄지질 않있을 것이다


1,000회 그 이상 계속 이어져 사람들 마음에 영원히 기억되는 희망일출이 되길 응원한다 

 

 

 

 

 

 

Reported by

김학민문화예술환경기자

김홍이 대기자 전)청와대출입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