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속보 Breaking News> 한국, 이태원 핼러윈 '대참사' 압사 사고 '사망자156명' 늘어 부상자 100-180 여명/ Seoul, South Korea Itaewon Halloween 'great catastrophe' crushed death death toll rises to 156, more than 100~180 injured!

At around 10 p.m. on October 9, the death toll increased to 156, including foreigners, in an accident at the Itaewon Halloween Festival in Seoul, South Korea, and 100~180 people were injured

<At around 10 p.m. on October 29, the death toll increased to 156, including foreigners, in an accident at the Itaewon Halloween Festival in Seoul, South Korea, & 100~180 people were injured>

 

As of 6 am on the 30th, 154 people were confirmed dead in the Itaewon Halloween crushing accident that occurred on the 29th.  76 people were injured.  With this, a total of 227 people were killed or injured in the accident.  With the number of serious injuries, the death toll is expected to rise.

Yongsan Fire Chief Choi Seong-beom held a final press briefing at 6:30 a.m. on the same day and said, "Two of the injured have been converted into dead, and some of the injured have returned home."

The fire department is expecting the death toll to increase as 21 of the injured are seriously injured, such as receiv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Yongsan Fire Chief Choi Seong-beom explained that the accident was presumed to be a large-scale crushing accident that occurred when a large number of people fell while crowds gathered around 119-7 Itaewon-dong, Yongsan-gu, Seoul.

The fire department set up a missing person reception desk on the 3rd floor of the Hannam-dong Community Service Center in Yongsan-gu, Seoul around 4:30 am on the same day.  After confirming all the identities of the deceased, the fire department will notify the family and others in a lump sum.

 

------------------------------------‐---------------------‐----------------------------------------------------------------------------------------------------------------------------

 

 

10월 29일 밤 10시 30, 한국 서울 이태원 핼러윈 축제 압사사고로 외국인 포함 사망자156명으로 늘어 부상100~150명 10월 29일 밤 10시 30 발생한 이태원 핼러윈 압사 사고로 30일 오전 6시 기준 149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부상자는 100~180여명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이번 사고로 숨지거나 다친 사람은 총 227명으로 나타났다. 중상자가 많아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최성범 용산소방서장은 이날 오전 6시30분께 최종 언론 브리핑을 열고 "부상자 중 중상자 2명이 사망자로 전환됐고, 부상자 중 귀가한 인원이 발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부상자 중 (CPR)심폐소생술 등을 받는 중상자가 수백명이어서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소방당국은 보고 있다.피해자 대부분이 10~20대이며 외국인 사망자는 다수라고 밝히고, 외국인 부상자는 15여명이라고 최성범 소방서장은 밝혔다.

사고는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119-7 일대에 인파가 몰린 상황에서 다수가 넘어지면서 발생한 대규모 압사 사고로 추정된다고 최성범 용산소방서장은 설명했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4시30분께 서울 용산구 한남동주민센터 3층에 실종자 접수처를 마련했다.경찰은 사망자의 지문인식 등 신원 조회 절차에 나섰다. 소방당국은 경찰의 협조받아 사망자의 신원을 모두 확인한 후에 가족 등에게  통보할 예정이다고 밝혔습니다.

 

<10월 29일 11시 30분 경 이태원 핼러윈 대참사 156명 압사 희생자 현장>

 

 

 

 

 

 

 

 

 

Reported by

Alexander Utt. 프리랜서외신기자

손경락/법률전문선임기자/변호사

김홍이/뉴스탐사기자/동시통역사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