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청와대=인터뷰뉴스TV> 전상화 변호사, 무능한 국회를 없애자...주권자인 국민이 직접 정치하자.. '청와대 국민청원 등장'

이상화 변호사가 아래와 같이 청와대 국민청원에 들어갔다.

 

<청와대 전경>

1. 국회 대신 주권자인 국민들이 직접 정치하자

가. 대의제를 택한 가장 큰 이유는, 국민 전부가 한 자리에 모여 국정을 논의하기 불가능했기 때문인데, 인터넷의 발달로 이 문제가 해결됐습니다.

나. 국회의 가장 큰 권한 2개는, 입법권과 예산권인데, 그 2개의 권한을 대법원이 침탈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무능한 집단이므로, '존재의 이유'가 없습니다.


2. 대법원에 의한 예산권 침해

국회에서 대법원장 공관 공사 예산을 삭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전& 현 대법원장은 이를 무시하고 임의로 예산을 증액해서 공관 공사를 고급 이태리산 대리석으로 강행했습니다. (대법원이 예산 15억5천200만원을 국회에 신청, 국회에서 9억9천900만원으로 삭감, 그러자 대법원은 처음 신청했던 예산보다도 더 많은 16억7천만원을 재편성해서 집행)

참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국회는 왜 존재합니까?

절도나 강도 같은 형법 위반 사범이 아니라, 국가 최고 규범인 헌법을 위반한 국헌 문란 사범입니다.

형법 같은 법률은 국회에서 마음대로 만들 수도 있지만, 헌법은 반드시 주권자인 국민들의 국민투표를 거쳐야할 만큼 중대한 규범입니다.

그런 국헌 문란 사범을 발견했으면, 감사원은 당연히 고발조치를 취했어야 하고(감사원법상 고발의무), 국회는 대법원장을 비롯한 관련자들을 탄핵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어느 누구도 그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습니다.

국회가 무슨 필요가 있습니까?


3. 대법원에 의한 입법권 침해

모든 국민은 '법률을 위반하는 경우'에 책임을 집니다. (민법 제750조, 국가배상법 제2조 제①항)

그런데 대법원은 판례(대법원 2003. 7. 11.ᅠ선고 99다24218 판결)를 만들어, 법관의 경우에는 '법률을 위반하는 경우'에도 '위법 또는 부당한 목적이 없는 이상' 아무런 책임이 없다고 해버렸습니다.

‘고의’로 ‘법을 위반하여’ 재판하더라도 ‘위법 또는 부당한 목적’만 없으면 전혀 책임을 지지 않으므로, ‘법의 지배’가 아닌 ‘법관들의 지배’를 받게 되어, ‘법치주의’가 유린되고 법관들에 의한 ‘인치주의’가 횡횡하는 사태에 이르렀습니다.

국가배상법 제2조 제①항에는, 모든 공무원은 '고의 또는 과실로 위법행위'를 했을 때 책임을 지도록 규정했는데, 판사는 공무원이 아닙니까? 판사는 이 나라 국민 아닙니까? 왜 국가배상법을 무시하죠? 왜 '고의 또는 과실' 외에 '위법 부당한 목적'까지 입증해야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합니까? 그걸 어떻게 입증합니까?

'법치주의'는 재판도 '법대로' 해야합니다.

법에도 없는 특권을 무슨 권한으로 만듭니까?

법원은 입법부가 아니라 사법부입니다.


4. 결 어

결론적으로 주권자인 국민들이 직접 나서야만,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국민주권주의'와 내가 만든 법에 의해 내가 지배받는 '법치주의'를 지킬 수 있습니다.

2020. 10.
'바위 깨는 계란' 변호사 전 상 화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권오춘 사진기자 

김홍이 기자/PD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